스페셜
"아래쪽"(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걸러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FAST 랩온어디스크의 경우, 장착된 필터는 체액이 걸러지는 아래쪽에 항상 물을 채워 적은 힘으로도 세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조 그룹리더가 연구진과 개발한 FAST 랩온어디스크는 혈관 내 순환 종양세포(CTC)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 IBS ... ...
- 고혈압만 위험? 여름엔 저혈압도 주의!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8.18
- 잠자리에서 갑자기 일어날 때 심한 어지럼증을 느낀다. 누워있다 보면 중력의 영향으로 아래쪽으로 피가 몰리는데 갑자기 움직이면 피가 머리까지 빠르게 순환하지 못해 증상이 나타나는 것. 평소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거나 옆으로 잠시 누웠다가 일어나면 ...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염분에 의한 농도 차이로 물에 성층이 생겼는데 여름에 특히 이런 현상이 뚜렷하였다. 아래쪽에는 무거운 해수가 고이고 그 위로 가벼운 담수가 올라앉아 물이 섞이지 않고 제자리에 고인 채로 있었던 것이다. 당연히 공기 중의 산소가 저층수까지 전달되지 못했고 시화호는 금세 죽음의 호수가 ...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선체 내부에 평형수 탱크를 설치하고, 물을 담아 배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물을 선박평형수라 한다. 생태계를 교란하는 선박평형수 그림 1. 선박평형수를 통해 해양생물이 이동하는 과정. ① 화물을 내린 배가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 ...
- [생활 속의 기술] 아이스크림에 대한 세 가지 궁금증KOITA l2014.12.15
- 벌집은 꿀벌의 배에서 나오는 밀납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 자란 일벌은 배 아래쪽에서 노란색 밀납을 분비하는데, 벌집에 밀납을 끊임없이 발라가며 특유의 육각 구조를 만든다. 우리가 먹는 꿀은 벌집을 통째로 꺼낸 뒤 그 안에서 꿀만 따로 걸러 만든다. 꿀을 빼고 난 뒤 남은 벌집에서 ...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예측할 수 있다. 휘발유를 생산하는 미생물 연구의 주역인 유전자 조작 대장균. 반응기 아래쪽의 큰 용기에 배양액과 함께 들어 있다. - 김상현 제공 “대장균이 특정 대사산물을 만들어내게 하려고 1000개의 유전자 중 세 개만 조작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세 개의 유전자만 다룬다고 하면 아주 ... ...
- 고혈압만 조심? 여름, 저혈압도 조심!KISTI l2014.07.25
- 많다. 저혈압의 한 종류인 기립성(起立性) 저혈압이다. 이 경우, 중력의 영향으로 피가 아래쪽으로 몰린 상황에서 갑자기 움직이면 머리로 피가 빠르게 순환하지 못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이럴 때는 옆으로 누워 잠시 쉬거나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다. 증상은 여름에 더 심해진다. 원인은 땀이다. ... ...
-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동아사이언스 l2014.07.11
- 결과 브레이스 포지션을 하고 있던 더미는 종아리에 압박을 받아 뒤로 밀리면서 의자 아래쪽에 발목이 부딪쳤다. 발목 골절을 당할 가능성이 있었다. 반면, 곧게 앉아 있던 더미는 앞좌석 등받이에 머리를 세게 부딪쳤다. 뇌진탕을 당했을 가능성이 컸다. 상체는 급격히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허리에 ...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KOITA l2014.05.16
- 키가 큰 사람을 위해 좌석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가 나왔다. 고속버스의 좌석처럼 아래쪽에 숨겨져 있는 추가 시트를 펴면 된다. 이 외에도 앉는 부분의 기울기, 머리 받침대의 높이와 기울기, 허리 받침 쿠션의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다. 김정현 벤츠코리아 홍보팀 과장은 “벤츠 승용차에 ...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IBS l2014.05.14
- 수 있으며 이를 '땋임군'이라고 한다. 땋임군의 구조를 매듭에 적용하면, 서로 땋인 실의 아래쪽과 위쪽을 서로 연결할 때 매듭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별 걸 다 연구한다 싶겠지만 의외로 매듭과 땋임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복잡한 3차원 구조를 수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