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뉴스
"
아래쪽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있는 신경세포들이 이루고 있는 연결망의 일부다. 표지 사진은 위쪽에 있는 연결망이
아래쪽
과 끊어진 것을 부각시켜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이 ‘끊어진 신경의 재생’과 관련된 연구 결과이기 때문이다. 신경세포는 감각이나 생각, 동작 등의 신호를 온몸에 전달하는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만들어질 것이다. 이중 슬릿 실험에 대한 과학자들의 반응을 모래 시계로 비유한 그림.
아래쪽
이 산 모양으로 쌓이지 않고, 호수에 돌멩이를 던졌을 때 물결처럼 된다고 상상해보자. 언뜻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이런식으로 앞뒤가 안 맞는 것 같은 현상이 양자역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이다. - ... ...
안구건조증 비상, 인공눈물은 임시방편 해결책은..
동아닷컴
l
2014.12.19
있는 눈물층이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
에 둠으로써 눈꺼풀 틈새를 작게 해주는 것도 좋다. 겨울철은 실내 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춰주면 눈물의 증발 감소가 가능하다. 또 자동차 히터 바람이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개발했다. 원숭이가 특정한 행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행동뉴런은 전두엽의 전운동피질
아래쪽
(F5라고 부른다)에 있다. 원숭이가 어떤 행동을 하자 특정 뉴런이 활동했다. 예를 들어 어떤 뉴런은 원숭이가 접시 위의 땅콩을 집으려할 때에만 반응했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현상이 나타났다. 우연히 ... ...
티라노사우루스 때려 눕힌 거대 공룡이 사실은 수영 선수?
2014.09.15
이밖에 목과 꼬리가 유난히 긴 점도 수영 선수로는 좋은 체형이며, 코가 유난히
아래쪽
에 위치한 점도 수중 생활에 도움을 준다. 반면 연구팀은 논문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거대한 등비늘은 물고기의 등지느러미처럼 수영에 쓴 것이 아니라 돛단배의 ‘돛’처럼 자신의 현재 위치를 ... ...
작은 사방댐 하나가 산사태 막아
2014.08.31
많은 양의 빗물이 땅에 스며들어 경사지의 토양층이 한번에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에서
아래쪽
의 주거지와 경작지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완교 산림청 산사태방지과 사무관은 “숲의 나무를 솎아 베고 가지를 쳐서 나무뿌리를 발달시키는 게 산사태를 막는 가장 기본적인 대책”이라면서도 ... ...
슈퍼컴으로 롤(LOL) 게임 한다면
과학동아
l
2014.07.28
” '슈퍼컴카페'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이 전문가의 설명을 받아적고 있다. 사진
아래쪽
에 보이는 장비가 KISTI에서 운영하고 있는 슈퍼컴퓨터 타키온. - 과학동아 이한기 기자 제공 이날 행사는 참가자들이 전문가에게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하는 토크콘서트와, 슈퍼컴퓨터를 견학하는 프로그램으로 ... ...
‘최신 용암’ 흔적…“한라산은 활화산” 증거 찾았다
채널A
l
2014.07.15
용암이 굳은 흔적인 두꺼운 현무암층이 보입니다. 현무암이 생긴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아래쪽
토양의 연대를 측정해봤습니다. 측정 결과 퇴적층 위쪽 탄화목의 나이는 5000년. 용암층은 적어도 그 이후에 만들어졌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화산 활동 중 가장 근래의 것입니다. [인터뷰 : ... ...
안전선박의 핵심, 복원력 총정리
과학동아
l
2014.05.05
마련하기도 한다. 선박 위쪽에 실리는 화물이나 승객 때문에 위로 올라가는 무게중심을
아래쪽
으로 낮추기 위해 평형수를 채워 무게중심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여기서 고려할 다른 변수는 ‘흘수(吃水·배가 수면 아래로 잠기는 깊이)’다. 평형수와 화물 무게 만큼 무거워진 배는 물속에 ... ...
벌꿀과 호박벌의 슬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벌 두 마리가 해바라기 안에서 사이좋게 꿀을 따고 있다. 위쪽은 꿀벌,
아래쪽
은 호박벌이다. 서로 다른 종인 두 벌이 같은 질병에 노출돼 있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영국 로얄 홀러웨이대 마티아스 퓌르슈트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유럽 공동 연구진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