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즐거운 한가위 연휴를 마치고 이제 집에 가는 일만 남았어요. 한가위는 다 좋은데 할아버지가 계신 곳까지 다녀오는 게 너무 힘들어요. 그래도 운전하느라 ...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2 아름다운 한복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
보름달일까?PART 4 집에 오는 길은 ... ...
작지만 강한 이자율의 위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올려서 신문과 방송에서 커다란 뉴스가 됐어요. 원금에
대
한 이자의 비율을 가리키는 이자율을 겨우 0.25% 올린 것뿐인데 ... 그렇다면 용돈도 적게 쓰고 절약해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리세요. 물론 앞으로 이자율에
대
해 관심을 갖는 것도 잊지 말고요 ... ...
대
박을 부르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일거수일투족이 모두 세상에 공개되는 것 같아서 싫더라고. 물론 뭐니뭐니해도 머니가 휴
대
전화를 사용하지 않게 만든 가장 큰 요인이긴 하지만, 하하.2010 인구주택총조사올해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2010 인구주택총조사’가 진행된다. 1985년부터 5년 간격으로 진행되는 조사로 여기서 얻어진 ... ...
최고 난제 'P!=NP'문제 증명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수학의 7
대
난제 중 1번 문제가 풀렸습니다.미국 클레이 수학재단(CMI)은 지난 2000년에 7
대
수학난제를 발표하고 7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걸었습니다. 그 중 첫 번째는 1971년에 수학자 스티븐 쿡과 레오니드 레빈이 제기한 ‘P!=NP를 증명하라’는 문제로 실제 산업과 컴퓨터 분야에 많이 사용됩니다.21세기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보내 3D 영상의 인식과 분석이 가능하다. 결국 클라우드는 기존의 슈퍼컴퓨팅 또는
대
규모 컴퓨팅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구축 및 유지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고성능 서비스를 스마트폰이나 PC 등에서도 제공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클럭에 매달린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대
학 입시에서 매해 증가하던 수시 모집 비중이 올해 더욱 커졌다. 고려
대
는 올해 입시에서 우선선발 조건에 해당하는 학생을 논술 100%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을 밝혔 ... 과목 중 특정 과목에만 치우쳐서 논술
대
비를 하지 않고 물리, 화학, 생물을 균형있게
대
비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트라켄이 마주한 문제를 풀어 볼까요? 강 건너로 옮겨야 할
대
상은 푸른 몬스터와 붉은 몬스터 각 한 마리, 그리고 네키입니다. 차근차근히 하니 어렵지 않지요? 하지만 트라켄에게는 이보다 어려운 퍼즐이 기다리고 있답니다. 어려분도 함께 차분히 풀어 보세요.남의 마음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래에 다가올 로봇 전쟁이 전쟁과 전쟁에
대
한 우리의 인식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 기
대
와 우려가 동시에 다가온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이제는 로봇이 싸운다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2010년 8월 15일 광복절. 3년 8개월의 복원 공사 끝에 새 광화문이
대
중에 공개됐다.광화문처럼 기구한 운명을 겪은 문화재도 흔치 않다. 조선 태조 4년(1395) 처음 지어졌지만 임진왜 ... 전통기술과 현
대
과학의 조화로 새롭게 태어난 광화문이 한민족의 역사를 꾸준히 지켜보길 기
대
한다.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설명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런 체질 때문에 오랑우탄의 성장과 번식이 느려졌고 결국
대
를 잇기도 어려워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사람은 약 2년마다 출산이 가능한 반면 오랑우탄은 7~8년마다 새끼를 갖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10일자에 나왔다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