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이다.
대
를 이어 핵융합을 연구하는 플라스마 과학자 가족이 탄생하는 날을 기
대
해 본다. 고수의 비법전수 잘 알려진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그곳에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김상연 _ 과학동아 편집장과학기술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미래 생활을 뒤바꿀 위
대
한 기술은 가장 뛰어난 기술이 아니라 가장 인간의 욕망을 잘 읽어낸 기술이다. 인간을 잘 이해하는 과학자가 앞으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도 식품, 화장품, 정밀화학 소재로 사용되는 카로티노이드를 만드는
대
장균을
대
사공학으로 합성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로봇미생물 바이오 공장자기치료물질우주엘리베이터뇌 기계 접속 기술스크램제트 엔진인간 발전소바이오 이종 장기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확보한 뒤 2011년부터는 탄화수소를 이용한 엔진 개발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
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여객기는 꼬리날개가 없는 델타익(삼각날개) 형태가 될 확률이 높다.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닥의 염기쌍은 서로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 손실이 일어난다고 해도 반
대
쪽 염기쌍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다시 원상태로 돌릴 수 있습니다. 예시답안 전문가 클리닉 1번 문항은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논리적인 완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2코사인 법칙을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오는 착시 현상일 뿐이다. 한때 3색의 크기 비를 청:백:적=30:33:37로 한 적이 있다. 깃
대
에서 멀수록 깃발이 펄럭일 때 작아 보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1946년에 다시 폭을 같도록 정했다.자랑스런 태극기 세계에는 비슷한 국기가 많다. 무늬나 색의 규칙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독창적인 무늬를 넣어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안녕? 나는 ‘카구’라는 새야. 저 멀리 ‘뉴칼레도니아’라는 섬나라에서 초
대
장을 들고
대
한민국을 찾아왔단다. 왜냐구? 바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을 ‘뉴칼레 ... 문화를 체험하는 일은 여러분의 꿈을 설계하는 데 분명 큰도움이 될 거예요. 어린이 탐험
대
에 꼭 도전해 보세요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투자를 통해 최근 게놈분석능력이 양으로는 미국을 넘어섰다는 평가다.한국은 서울
대
유전체의학연구소가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테라젠은 게놈데이터를 분석해 맞춤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엔 삼성의료원도 맞춤의학에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항상 정지궤도에서 지구와 함께 자전한다. 이 아이디어가 조금 더 구체적이 된 것은 1960년
대
였다. 러시아의 공학자 유리 아르추타노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은 1979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의 소설 ‘낙원의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버드
대
데이비드 세이치 박사 연구팀이다. 이종 장기의 창시자라고 불린다. 피츠버그
대
는 데이비드 쿠퍼 박사를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 중이다. 바이오 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도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바이오 이종 장기 개발사업단, 장기복제이식기술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