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버드
대
데이비드 세이치 박사 연구팀이다. 이종 장기의 창시자라고 불린다. 피츠버그
대
는 데이비드 쿠퍼 박사를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 중이다. 바이오 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도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가족부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바이오 이종 장기 개발사업단, 장기복제이식기술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이다.
대
를 이어 핵융합을 연구하는 플라스마 과학자 가족이 탄생하는 날을 기
대
해 본다. 고수의 비법전수 잘 알려진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그곳에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6시간 이상 움직일 수 있지만 하루종일 야외 활동을 하기엔 아직 부족하다. 헐크는 최
대
12시간가량 움직일 수 있다. 실제 전장에 투입되기 위해서 메탄올이나 수소 등을 전기로 바꾸는 ‘연료전지’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박상덕 단장은 “배터리 문제가 해결된다면 일당백의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효과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곳은 역시 산화아연(ZnO) 와이어를 개발한 미국 조지아 공
대
의 왕종린 교수팀이다. 국내에서는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인간 발전 기술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이 교수팀은 인체에 해롭지 않고 압전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압전식 나노발전기를 개발해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열
대
바다체험단으로 선발된 친구들이 인천공항에 속속 모였다. 한창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체험단을 선발했는데 어느덧 낙엽이 지고 쌀쌀해졌다. 아직은 서로의 얼굴이 낯 ... 벌써 꿈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에메랄드 빛 바다는 영원히 마음 속에 남을 것 같다.‘잘 있어라. 열
대
바다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닥의 염기쌍은 서로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어느 부분에서 손실이 일어난다고 해도 반
대
쪽 염기쌍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다시 원상태로 돌릴 수 있습니다. 예시답안 전문가 클리닉 1번 문항은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논리적인 완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2코사인 법칙을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혼돈 이론, 위상수학 등으로 현
대
수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우주진화론과 상
대
성 이론에도 많은 도움을 줬다. 20세기의 100
대
인물에 뽑힌 수학자 2명세계적인 잡지인 타임이 ‘20세기의 100
대
인물’ 을 선정했는데, 여기에 2명의 수학자가 포함됐다. 바로 괴델과 튜링이다. 튜링과 노이만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슛~, 고올~? 아! 골
대
에 맞고 나오는군요….’아이쿠, 저럴 때는 각도를 그냥 조금만 틀었어도 골인데 말이야! 여기는 남아공, 우리는
대
한민국
대
표팀을 ... 달려서 말이야. 경기장에서 살아 있는 과학을 보여 주는 멋진
대
표팀에게 응원이나 실컷 할 테야!“
대
~한민국! 짝짝~ 짝, 짝, 짝!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덧붙였다.네기시 교수 역시 “명백히 더 많은 방법이 개발돼야 한다”며 “예를 들어 비
대
칭 합성의 경우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아직 성숙하지 못한 분야”라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 소식도 새로운 분자를 만들려는 이들의 ‘열정’을 식히지 못한 게 아닐까.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상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모두 잠들어 있거나 소수의 당직자만 깨어서 근무한다면 여행 중에 생기는 돌발 사태에
대
처하기가 쉽지 않다.한편 사람이 직접 가지 않고 냉동된 수정란만 실어 보낼 수도 있다. 우주선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수정란은 자동으로 인공 자궁으로 옮겨가 성장하고 태어나는 방법이다. 사람을 얼리는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