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에어로졸로 바뀌어 전 지구에 실안개 층을 형성했을 거고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볼 때 성층권의 안개 층은 널리 뻗어 나갔을 겁니다. ‘절규’에 그려진 물결 무늬와는 다르게요. 실제로 1883년과 1884년 유럽과 북미에 나타난 색다른 일몰에 대한 자료에 화려한 색상은 묘사돼 있지만 물결 모양에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무엇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킬까.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강 ...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강연 영상과 강연 원고 전문은 홈페이지 및 모바일에서도 동시에 볼 수 있다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도안고 3)은 “개인으로는 갈 수 없는 유럽의 연구소들을 방문하면서 진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이번 대회에서 아쉽게 본선 진출에 실패한 학생들은 내년을 기약했다. 2차 예선 현장에서 만난 정광현 학생(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은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는 과학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러한 질병들에 대한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 예를 들어, 최근 에볼라가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됐을 때 경제성 문제로 백신 개발 연구가 이뤄지지 않은 사실이 문제가 됐다.백신의 개발과 생산이 제약회사에 크게 이익이 되지 않으며, 현재까지 백신 개발은 정부, 대학 및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인정받지 못한다. 최초의 슈퍼카 미우라가 그랬던 것처럼 슈퍼카는 넋을 놓고 볼만큼 아름다운 외모도 갖춰야 한다.아름답게 만든다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자동차를 디자인하려면 먼저 엔지니어로부터 차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한다. 엔지니어는 차의 종류와 콘셉트에 맞춰 엔진의 크기와 위치, ...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영화는 소재에 따라 코미디와 액션, 로맨스, 공포 등으로 장르가 나뉘어요. 영화와 달리 게임에서는 유저와 게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액션과 플랫포머, 퍼즐, 슈 ... 호에서는 새로운 게임엔진 ‘컨스트럭트 2’를 이용해 엔드리스 러너를 실제로 구현해볼 거예요.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래서 1초에 수백 번이 넘는 날갯짓을 할 수 있답니다.●시맥 : 벌레의 날개에서 볼 수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있는 맥. 얇은 날개를 보강하며 몸 속 물질이 시맥을 통해 이동하기도 한다.곤충 날개(노란색)에 생기는 와류(초록)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벌레의 능력 3높은 곳도 문제없어!▶중요 기술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고생을 많이 할 때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고, 고생을 적게 할 때는 아래쪽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편부터 꾸준히 역경을 겪어 오다 보니 그래프가 위아래로 왔다 갔다 하는 모양이다. 다사다난 잭 스패로우잭의 고난은 블랙 펄의 부선장이었던 바르보사의 반란으로 배를 빼앗긴 사건부터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안에 있는 물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10.1017/jog.2017.1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노셀룰로오스로 만든, 접을 수 있는 배터리였다.병원이나 대학 전자공학과 연구실에서 볼 법한 물건들이 왜 산림과학원에 있는 걸까. 놀랍게도, 이들 재료는 모두 나무에서 왔다. 바로 나노셀룰로오스다. 나노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나노(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분해한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