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연립방정식으로 푸는 게임, 나야 나! 라이트 아웃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어 a+b+d=0…❷이 되지요. 같은 방식으로 a+c+d=0…❸, b+c+d=1…❹이 됩니다. 이제 식을 풀어 볼게요.라이트 아웃 게임의 모양이 꼭 정사각형일 필요는 없답니다. 다양한 도형 위에 불이 들어오는 버튼을 그려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이참에 나만의 라이트 아웃 게임을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요? 이왕이면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모든 거래에 관여하는 현행 시스템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특성을 모두 가진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골드만삭스, JP모건 등 굵직한 글로벌 금융사들이 속해있는 국제 블록체인 컨소시엄(R3CEV)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용한다. 만약 블록에 저장된 계약서에 수정사항이 생기면 참여 금융사들의 ...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덕 갤러리에 사료와 비슷하게 생긴 갈색 공 2000개를 채운 거대한 사료 그릇과, 개가 볼 수 있는 노란색과 파란색 계열로 그려진 그림을 개의 눈 높이에 전시했다. 물줄기를 뿜는 그릇도 설치했다.발명가답게, 전시의 압권은 거대한 선풍기 전시물이었다. 노란 선풍기 뒤로 숲 그림이 흐르게 장치를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리고 난 뒤 점의 정보와 해당 유전자와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평면 형태의 몽타주를 만들었습니다. 카이저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DNA로 얼굴 모양을 추정하는 이번 연구는 향후 과학수사에 응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Session 2. DNA 데이터베이스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회도 육회도 좋아하는 내 뱃속에 기생충이 가득 꿈틀거리고 있는 건 아닐까. 우웩!흔히 볼 수 없지만, 그나마 있는 기생충 20기생충은 체내 감염부위에 따라 조직내 기생충, 장내 기생충, 혈액내 기생충, 인체 표피 절지동물로 나눌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장내 기생충 감염 실태조사를 보면 1971년 8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내가 올린 탐사기록을 한번에 모아 직접 출력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기능도 만나 볼 수 있답니다.이뿐만이 아니에요. 올해 지사탐에서는 탐사 체험을 전문가와 깊이 있게 나눌 수 있는 ‘정기강좌’와 생물 서식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과정인 ‘메이커 교육’, 코딩을 통해 탐사기록을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자제하고 무표정하게 있으면 단기기억력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영화를 볼 때 즐겁고 웃긴 장면이 나오거나 슬픈 장면이 나올 때 웃거나 울지 못하게 감정을 억제하면 영화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졌죠. 감정이 중요한 이유는 감정중추가 기억중추인 해마와 붙어있기 때문입니다(92쪽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원점에서 먼 곳일수록 실제로는 무한히 멀고 넓은 지역을 나타내거든. 지도 변두리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도형도 실제로는 가운데에 있는 정육각형과 모양과 넓이가 똑같은 정육각형 지역을 나타내.정육각형 4개가 한 점에서 만나는 이유는 쌍곡 평면에서는 정육각형의 내각이 120°가 아닌, 90°이기 ... ...
- 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 과학 연구실이라면 가 볼 만큼 가보고, 웬만한 실험이나 메이커도 다 해 봤지! 그런데 뭐지? 뭔가 부족한 이 기분?안 되겠어! 과학의 달을 맞아 아주 특별한 과학을 찾아봐야겠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명품”이라면서도 “하지만 이 때문에 현대 바이올린보다 훨씬 뛰어난 소리를 낸다고 볼 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3일자에 실렸다(doi:10.1013/pnas.1619443114).높고 추운 산에서 자란 나무가 부활한 ‘숨 쉬는 악기’어떻게 수십 년간 최정상에 있던 명품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