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피,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놀이동산이나 생일파티에 가면 다양한 모양의 풍선을 볼 수 있어요. 이 풍선 안에는 무수히 많은 기체 입자들이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지요. 기체는 일정한 모양이 없어서 풍선의 모양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답니다.만약 기체가 풍선 안에 들어 있지 않았다면 기체는 모두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주변을 돌아다니다 보면 대포마냥 긴 렌즈를 끼운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지? 이런 렌즈가 바로 망원렌즈인데, 화각이 좁지만 상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배율이 커져서 얼굴이 오그라든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어. 얼굴이 풍선처럼 나왔다고 놀라지 말라구. 전부 카메라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최대 28일(678시간) 동안 자라게 한 것이다(doi:10.1038/ncomms15112).인공자궁은 밖에서도 안을 볼 수 있는 투명한 비닐 백으로 만들었다. 이 안에는 멸균된 따뜻한 인공 양수가 가득 차 있다. 양수는 펌프를 통해 조금씩 순환되며, 인공자궁으로 들어가기 전에 공극의 지름이 0.2μm인 필터로 걸러진다. 이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문학도시로 지정이 됐어요. 영국에서 가장 크고 다채로운 야외시장도 있습니다. 이렇게 볼 것이 많은 도시지만 시간을 내 꼭 방문해보길 추천하는 곳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생명과학, 의학, 환경 연구 단지인 노리치 리서치 파크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QIB)도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답했다.“그렇다고 들었습니다만.”“놀이기구라면 입자 프린터로 얼마든지 만들어볼 수 있을 텐데, 사람들이 굳이 여기까지 와서 체험해보는 이유가 뭘까요?”노마는 목청을 가다듬었다. 지금까지 손님들에게 수백 번, 수천 번 답했던 질문이었다.“중력 때문이죠. 여기서 멀지 않은 곳에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래된 10억 년 전 화석 ‘스트로마톨라이트’와 25억 년 전의 암석 ‘토날라이트’ 등 볼거리가 가득해요.기자단 친구들도 자연사관에서 오랜 세월을 뛰어넘은 한반도 생물의 역사를 만나길 바랄게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시계를 55초마다 보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봐요. 맨 처음에는 초침이 0초에 놓인 걸 볼 거예요. 두 번째는 55초, 세 번째는 50초… 순으로 시계를 보다 보면 시계가 거꾸로 가는 것처럼 느껴지겠지요? 이 현상은 60초를 주기로 한 바퀴를 도는 시계를 55초 주기로 보기 때문에 일어나요. 실험 방법 하나. ... ...
- 몸이 먼저 반응하는 곳, 서울시립과학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들기도 한다. 관람객은 철을 깎아내는 기계부터 3D프린터까지 공정 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공존, 생존, 연결, 순환이라는 이름의 전시관 4개에 있는 전시품도 몸이 먼저 반응해 수학과 과학을 익히게 해준다. 모래산을 쌓아올려 등고선의 변화를 관찰하고, 레이저와 거울을 활용한 보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번에는 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면 재빨리 기차역으로 달려가 엄마의 메시지를 찾아볼 생각이었다. 마고에게는 ‘아니, 어쩌다 나를 못 봤냐’고 능청을 떨면 그만이었다.그때였다.위잉~ 위잉~갑자기 시끄러운 경보 소리가 울려 퍼지며 빨간색 등이 점멸했다. 사람들이 깜짝 놀라 웅성대자 곧바로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도 문제다. 또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가는 소금의 종류와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제야 과학자들은 적정수준의 소금 섭취량과 소금의 종류 별 차이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옛 조상들이 소금을 금처럼 귀하게 여긴 것은 다 이유가 있었다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