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계산기는 시험 볼 때 ‘커닝페이퍼’를 숨기는 데도 유용했다. 요즘은 한 반 40명 중에 공학용계산기를 쓰는 학생이 5명도 채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것도 갓 전역한 복학생.요즘 이공계 대학생들은 카카오톡 같은 채팅 어플이나 구글 드라이브와 같은 클라우드 어플도 자주 사용한다. 주로 조별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일상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존재, 컴퓨터. 컴퓨터는 처음에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또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요? 컴퓨터의 모든 것을 파헤치기 위 ... 세상을 보면서 생각의 틀을 넓히세요. 기술이 뛰어난 컴퓨터 공학자에서 창의적인 컴퓨터 공학자로 거듭날 수 있을 거예요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가운데, 큐브샛 위성이 발사된 장면. 큐브샛은 우주에서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과학, 공학 실험을 할 수 있어 미래에 더 각광 받을 것이다. 새로운 우주 임무를 꿈꾸는 큐브샛연구소에 도착하자, 최 박사가 놀라운 말을 했다.“화성 유인탐사는 성공적이었어요. 그런데 한편에서는 정반대의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슈와르츠의 이 연구는 해석학의 편미분방정식 이론에 새로운 장을 열었고, 물리학이나 공학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서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다. 프랑스는 슈와르츠 이후로 전체 필즈상 수상자 중에 단일국가로는 가장 많은 13명을 배출하며, 넘볼 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있습니다. 안경 렌즈에 달린 디스플레이가 어색하게 보인다는 거죠.”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웨어러블 제품의 성공 여부는 ‘기술력’보다는 ‘착용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는 눈에 띄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박 교수는 지난해 10월 피부에 붙여도 티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기록한 역사서 등을 참고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선박 설계도를 그린다고 해요. 그리고 공학적 분석을 거쳐, 3D 프린터로 각 부품을 찍어내면 선박 축소 모형을 만들 수 있지요.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로 선박을 만들면 복원 끝!배 타고 과거 여행 떠나자~!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는 마도 1호선을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차재은 책임연구원과 박현선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 이정익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모인 공동연구팀이 차세대 원자로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실험장치다. 안내를 받아 도착한 곳은 따로 떨어져 있는, 자그마한 1층짜리 간이 건물이었다. 옆에 세워져 있는 냉각탑이 아니었다면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구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 로봇연구소를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로봇공학과 크리스 앳킨슨 교수는 돈 홀 감독에게 자신이 연구 중이던 소프트로봇을 소개했다. 바로 비닐 소재로 만든 로봇팔(아래 사진)이다. 돈 홀 감독은 이 로봇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베이맥스를 지금의 모습으로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열전 및 압전 기술이 전체 특허출원의 88.5%를 차지하고 있다. 조병완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에너지 하베스팅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스마트시티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추운 빙하기 다시 올까빙하기와 간빙기가 교차한 시기는 매우 규칙적이다. 동유럽의 공학자 밀란코비치와 영국의 지구물리학자 닉 섀클턴 등은 오랫동안 기후 자료를 연구해 규칙을 찾아냈는데, 약 4만1000년과 10만 년 주기가 서로 다른 시기에 플라이스토세 내내 반복되고 있었다. 즉 250만~100만 년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