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위성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구하는가 같은 ...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없었다. 평생 원자로를 직접 보고 만지며 정비한 기술자였기 때문이다. 중앙대 기계공학과를 나온 이 대표는 1986년 원전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한전 KPS에 입사해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방사선 두들겨 맞는 총 책임자였다”고 농담처럼 말하지만, 실제 고리․영광원전에서 문제가 생긴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가운데, 큐브샛 위성이 발사된 장면. 큐브샛은 우주에서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과학, 공학 실험을 할 수 있어 미래에 더 각광 받을 것이다. 새로운 우주 임무를 꿈꾸는 큐브샛연구소에 도착하자, 최 박사가 놀라운 말을 했다.“화성 유인탐사는 성공적이었어요. 그런데 한편에서는 정반대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대신할 새로운 촉매가 수소차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겁니다.” 주상훈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는 현실적인 문제를 가장 먼저 진단했다. 수소차의 동력원인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반드시 촉매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상용화된 모든 연료전지엔 ... ...
- 도시가스로 발전하는 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전기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요.그런데 최근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화학공학과 김건태 교수(사진) 연구팀이 천연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를 개발했어요. 이 전지는 도시가스로 발전할 수 있어서 수소를 얻기 위해 따로 노력할 필요가 없어요. 또 기존 전지의 출력이 0.5W/㎠였던 것에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1970년대에는 응용수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했다.최근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대 토목공학과 모스타파엘-스하미 교수팀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온도에 따라 강화유리가 외부의 힘을 견디는 정도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강화유리를 삼각형과 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기록한 역사서 등을 참고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선박 설계도를 그린다고 해요. 그리고 공학적 분석을 거쳐, 3D 프린터로 각 부품을 찍어내면 선박 축소 모형을 만들 수 있지요.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크기로 선박을 만들면 복원 끝!배 타고 과거 여행 떠나자~!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는 마도 1호선을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구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 로봇연구소를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로봇공학과 크리스 앳킨슨 교수는 돈 홀 감독에게 자신이 연구 중이던 소프트로봇을 소개했다. 바로 비닐 소재로 만든 로봇팔(아래 사진)이다. 돈 홀 감독은 이 로봇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베이맥스를 지금의 모습으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있습니다. 안경 렌즈에 달린 디스플레이가 어색하게 보인다는 거죠.”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웨어러블 제품의 성공 여부는 ‘기술력’보다는 ‘착용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는 눈에 띄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박 교수는 지난해 10월 피부에 붙여도 티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차재은 책임연구원과 박현선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 이정익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모인 공동연구팀이 차세대 원자로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실험장치다. 안내를 받아 도착한 곳은 따로 떨어져 있는, 자그마한 1층짜리 간이 건물이었다. 옆에 세워져 있는 냉각탑이 아니었다면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