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느끼는 조명, 맛있는 음식색이 모두 다른 거죠. 그래서 곽영신 UNIST 디자인 및 인간
공학
부 교수를 비롯한 많은 색채과학자들이 이들을 위한 색처리기술을 연구 중입니다. 곧 누구나 色시해질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아드님이 싹수가 보입니다. 훌륭한 색채과학자의 자질이 보인다는 말입니다. ... ...
[Info]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사람과 공유하며 새로운 네트워크와 회사를 만들어 보고 싶다고 밝혔다. 뇌
공학
과 기계
공학
에 관심이 많다는 안 군은 대학에서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분야를 확인하고 진로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기자가 다니던 대학에는 수억 원짜리 최신 현미경과 최고 수준의 교수들과 최신 논문이 있었다.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감긴 줄의 길이가 최종 답이었다.그러나 이 기계는 정확한 값을 계산하지 못했다. 기계
공학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다양한 시도를 했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이었다. 결국 1953년 맨체스터대에서 개발한 컴퓨터인 베이비로 계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타함수에서 0점이 1540번째까지 일직선 상에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CSAIL) 다니엘라 루스 교수와 에릭 드메인 교수, 그리고 하버드대
공학
및응용과학대 로버트 우드 교수가 모인 연구팀이 종이접기 형태의 로봇을 제안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연구팀은 가로 세로 길이 약 5cm 가량의 종이접기 로봇을 종이비행기와 종이배로 스스로 변신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때는 3D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없었다. 평생 원자로를 직접 보고 만지며 정비한 기술자였기 때문이다. 중앙대 기계
공학
과를 나온 이 대표는 1986년 원전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한전 KPS에 입사해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방사선 두들겨 맞는 총 책임자였다”고 농담처럼 말하지만, 실제 고리․영광원전에서 문제가 생긴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지식이 없으면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없습니다. 이제는 바이오이미징 시대 전자
공학
의 라이징 스타Q 요즘 뜨는 분야는.제 입장에서는 당연히 바이오이미징(생명현상을 시각화하는 연구)입니다. 조금 과장하면 앞으로 우리나라를 먹여 살릴 분야입니다. 차세대 에너지 시장도 주목할 만합니다.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3D시스템즈가 전체 매출의 약 30%를 재료 판매에서 얻는 이유다. 장민호 고려대 기계
공학
과 교수는 “3D 프린팅 산업에서 하드웨어와 신소재 개발은 떼려야 뗄 수 없다”며 “새로운 분야에 응용하려면 소재를 개발할 때 프린터도 맞춤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행히 최근 해외에서는 3D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보던 공대는 최첨단 기술을 창조해내는 그런 곳이었습니다. 저도 입학 전에는 바이오뇌
공학
과 같은 최신 연구를 하겠다고 생각했어요. 막상 공대에 들어와서 보니 이런 최신 연구가 최신이 아니더라고요. 바탕이 되는 기초학문을 공부해야 하고 그 과정이 정말 힘들고 지루하다는 걸 알았습니다.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
공학
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위성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구하는가 같은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2월 4일, 당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프로젝트를 이끈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
공학
과 교수를 연구실에서 만났다. “특명이었죠. 일주일 안에 환자에게 꼭 맞는 맞춤형 관을 만들어라. 애 하나 살리자. 다른 연구는 올 스톱. 모두가 숙연한 마음으로 일주일을 보냈습니다.” 열댓 명의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