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하얀 스케치북에 집을 그려 보자. 집이라고 하면 아파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한옥을 그려 넣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한옥은 집보다 전통 문화재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 한옥이 도시 속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틈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에는 고층 한옥이나 한옥 도시가 생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난해 9월에는 20%가 넘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처음으로 나왔다. 석상일 성균관대 에너지
공학
과 교수팀의 성과였다. 이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율은 실리콘과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했다. 추세만 따지면 조만간 실리콘의 효율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가격도 실리콘보다 3분의 1 가량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
공학
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직접 보는 게 중요하다. 정 교수는 학생 때 실험실에서 연꽃을 직 접 길렀다. 기계
공학
실험실에서 연꽃을 키우다 보니 웃지 못할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루는 햇빛이 잘 드는 복도에 연꽃을 내놨는데, 청소 아주머니가 그 연 꽃을 쓰레기로 착각해 버린 것이다. 쓰레기장에서 다 죽어가는 연꽃을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플루트를 이용해 언제 어떤 경로로 퍼질지 예측할 수 있다. 황교상 KAIST 산업 및 시스템
공학
과 연구원(박사과정)은 작년 4월 플루트를 토대로 우리나라 인플루엔자 확산모델을 만들었다. 황 연구원은 “인구구조와 이동행태에 따라 피해도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한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배터리로 사용돼 전자기기의 성능을 높여주죠.“100전 101기,
공학
도의 운명”석사, 박사과정은 물론이고 학사과정에서 하는 실험도 생각보다 쉽지가 않습니다. 100번 중에 한 번 성공하면 다행일 정도기 때문에 끈기는 필수입니다. 저는 새로운 전극재료를 개발할 때, 몇 달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정확한 부위로 로봇을 조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시스템
공학
과 교수는 “목표 뉴런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해선 결국 자체구동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유체가압추진방식’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2011년 특허를 출원했다. 그의 로봇은 문어처럼 유체를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화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장갑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
공학
과 교수팀은 최대 3.2배까지 늘어나면서 변형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전도성 섬유는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대신 뇌 활성화 정도로 실재감을 측정하려는 과학자들이 있다. 이형래 한양대 의용생체
공학
과 교수팀은 2006년, 가상현실을 체험할 때는 뇌 특정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인지과학’ 저널에 발표했다. 뇌기능영상(fMRI)을 촬영한 결과, 실재감이 클수록 인지작용과 관련된 부위인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
공학
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크랩스터는 부력 탓에 수중 무게가 200kg으로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보면 의외로 쓸 데 있는 결론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로봇
공학
자로 일했던 웹툰 작가 랜들 먼로는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다. 그는 전 세계 사람들이 보내는 엉뚱한 질문에 대해 과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 결과를 짧은 만화와 함께 그의 블로그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