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한다. 이들은 아마추어들의 소형 망원경에서도 비교적 그 존재가 쉽게 포착돼 좋은
관측
대상이 된다.이들 소행성 중 네번째인 베스타는 제1소행성인 세레스보다 크기가 작지만,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일 때 밝기로만 따진다면 가장 밝은 소행성이다. 베스타는 가장 밝은 시기에 맨눈으로 볼 수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우주는 겉으로 평온해 보이지만, 속사정을 알면 그리 조용한 동네는 못된다. 우주라는 거대한 저택을 이루는 기본 벽돌인 은하들의 행태를 보면 ... 발견됐다. 1960년부터 이곳은 외계인의 신호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 지름 25m의 전파망원경으로
관측
돼 왔다. 어딘가 외계생명체가 있지 않을까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비례한다는 법칙이 그것 지구의 궤도가 원이라는 가정을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남긴
관측
데이타를 이용해 타원궤도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그의 법칙은 후에 뉴턴이 만력인력을 발견하는데 수학적인 기초를 제공했다송어·연어 등은 대양을 회유하면서 성장하여 성어가 되면 산란하기 위하여 태어난 ... ...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달의 자기권은 이제까지
관측
된 것 중 가장 작은 규모라고 밝혔다.시뮬레이션과
관측
연구 결합돼야린 교수는 이미 1971년 아폴로 15호, 1972년 아폴로 16호의 전자 반사계를 이용해 달의 자기장 분포도를 작성한 바 있다. 이때도 달 표면의 어둡고 둥근 충돌 지점과 자기장 발생 지역이 정반대 위치에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가장
관측
하기 좋다. 지구와 목성 사이의 거리도 다른 때에 비해 가장 가까울 뿐 아니라
관측
시의 고도도 가장 높다.현재 목성은 게자리에 위치해 있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기 때문에 누구나 찾을 수 있다. 목성은 현재 서서히 동에서 서로 역행중이다(보통 때 서에서 동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1 주기로 지구 궤도를 공유하는 소행성인 것이다.하지만 지구의 북극 바로 위에 떠있는
관측
자에게(지구를 궤도평면에 고정시켰을 때) 크루엔야는 복합적인 두가지 움직임을 보여준다. 먼저 크루엔야은 매년 강낭콩(콩팥) 모양의 궤도를 그리며 지구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사실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우주모델의 하나 우주에 있는 모든 은하들은 모두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져 간다는
관측
사실과 은하들이 멀어져 가는 시선속도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허블(EPHubble)의 법칙에 근거하는 이론이다 이 우주론은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을 출발점으로 한다 여기서 얻어지는 해(解)로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따라 최근에 정착한 학문이다지난 85년 프랑스가 적도상공 8백30km 고도에 띄워올린
관측
위성(SPOT, Système Probatoire d'Observation de la Terre의 약자) 두 대의 멀티 스펙타클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어 10m까지를 분간하는 고해상능력을 자랑한다한 종류의 균만을 순수하게 기른 것의도하지 않게 근육을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푸른 형형색색의 화려함으로 무장한 멋진 모습을 기대한다. 그런데 망원경으로 성운을
관측
하는 순간 밀려오는 실망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사진의 모습과는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흔히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사실 중의 하나는 성운을 보면 사진처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블랙홀을 이어주는 고리로 보인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
된 거대블랙홀들의 경우 질량이 큰 은하일수록 더 무거운 블랙홀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심의 거대블랙홀은 은하 질량의 약 5%에 해당한다. 이런 경향은 이번에 발견된 중간 크기의 블랙홀에도 이어졌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