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난다. 여름철에 외행성이 충이 되면, 한밤중에 남쪽 하늘에 뜨고 거리도 가까워지므로
관측
하기에 아주 좋다. 현재 물병자리에 있는 천왕성은 8월 25일 충을 맞이하는데 8월 30일 충이 되는 화성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놓인다. 이 무렵 천왕성은 화성에서 북서쪽으로 약 8도 가량 떨어져 있다.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가죽을 벗겨 몸을 가리고 불을 다루기 시작하면서 웬만한 추위는 거뜬히 견디게 됐다.
관측
된 최고 온도는 58℃그렇다면 인간은 자연에서 어느 온도까지 견딜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지구에는 기온이 45℃가 넘는 곳이 꽤 많고, 심지어 50℃가 넘는 곳도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결과, 동계온풍은 냉혈이 아니라 온혈이 근원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겨울에 대한
관측
기록이 아직 없기 때문에 이를 확정짓기는 어렵다. 암석이 냉기를 보존한다?하계결빙 현상이 사실이 아니더라도 얼음골이 기이한 곳임은 분명하다. 한여름에 얼음을 볼 수도 있고 한기가 느껴지도록 찬바람이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제기됐지만, 그 천체가 행성인지는 알 수 없었다. 결국 허블우주망원경의 정교한
관측
덕분에 이 천체가 목성 질량의 2.5배에 해당하는 최고령 행성으로 드러났다.여름 밤하늘에서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근처를 살피면서 최고령 행성이 살고 있는 별무리 M4를 찾아보자. M4는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
관측
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그는 인구증가 과정을 설명하는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이다. 그리고 현장을 직접 탐사하기 전에
관측
장비들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측
자료의 오차를 보정했다.다음은 탐사할 전체 해역의 개략적인 지형을 3차원으로 확인할 차례다. 한국해양연구원의 연구선 온누리호에 장착된 다중빔 탐사장비를 이용해 해저면 영상조사를 수행했다. 이 장비를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보이는 모습에서 그리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소형망원경으로도 꽤 만족할 만한
관측
성과를 낼 수 있다. 산개성단 M7을 구성하는 주된 밝은 별은 30개 정도지만 상당히 밝은 편이어서 화려하게 느껴지고, 배경의 별들이 많아 성단의 주요 별들은 더욱 박진감 넘치게 보인다. 또한 옆에 위치한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큰 것으로 보인다. NASA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가 지난해 표면 아래 1m 정도까지
관측
한 결과 극지방에서 위도 60°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상당량 얼음의 존재가 추정됐기 때문이다.물론 과거 화성 표면에 많은 양의 물이 흘렀는지는 아직까지 논란중이다. 물에 의해 만들어졌을 만한 특징이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목적으로 매달 1기 이상의 로켓을 발사한다. 최근 이라크전에서는 보유하고 있던 지상
관측
위성의 궤도를 변경해 전장 상황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얻음으로써 이라크전을 유리하게 이끌었다. 국내 발사장 건설은 필요한 인공위성을 적절한 시기에 보유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남해안이 유리한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으로
관측
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사슬 중 한쪽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