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리를 옮긴 후 그는 더욱 학문에 정진했고, 평생 동안 9권의 책과 5813쪽에 달하는 382편의
논문
을 출판했다. 찬드라세카는 73세, 77세에도 책을 출판했고, 숨지던 해인 1995년 84세의 나이에도 마지막 책을 출판하는 등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을 보였다. 우주와 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은 뛰어난 학문적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활성화하는 작용을 한다.지난해 ‘셀’에는 초파리의 miR-8이 성장을 조절함을 규명한
논문
을 실었다. miR-8 유전자가 고장난 초파리는 몸집이 작았다. 김 교수팀은 사람의 miR-200이 초파리의 miR-8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런 업적 때문에 김빛내리 교수는 한국에서 노벨상에 가장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정은 최단 4년의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운영된다. 총 60학점을 이수하고 박사학위
논문
을 작성하면 된다. 박사학위를 빨리 받는 장점이 있지만 박사과정까지 내다보는 신중한 결정이 뒤따라야 한다. 또 인문사회예술을 두루 익히고 대학 3학년부터는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과학과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기원과 뉴턴의 법칙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논문
을 발표해 학계에 파문을 일으켰다. 이
논문
에서 그는 당돌하게도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중력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기본적인 힘이 아니라 우주가 열역학 법칙을 따라 최대 무질서도(엔트로피)를 갖다보니 나타나게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물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이를 해결할 새 방법이 필요했다. 필자는 박사과정 때 작성한
논문
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으며 오랜 연구과정의 보람을 얻었다.연구실에서는 기존의 양자우물 구조 외에도 양자점, 나노선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활성층 구조도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최근 수학
논문
이 2배나 늘었고, 국제수학자연맹의 등급도 2등급이나 상승했단다.
논문
이 2배 넘게 늘어난 나라는 브라질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가 유일해. 브라질은 실력있는 외국 수학자들을 대거 유입한 결과였고, 중국은 2002년 국제수학자대회를 유치하며 이뤄낸 발전이었지. 우리나라는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99년에는 3등급으로 올리는 데 실패하기도 했어. 하지만 2007년 세계적인 학술지에 낸 수학
논문
수가 세계 12위를 차지하면서 4등급까지 올랐어. 학생들의 수학 실력을 겨루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도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줄곧 3~4위를 기록했지. 지금까지 필즈상을 받은 52명 중 11명이 올림피아드 ... ...
가볍게 들어도 근육 커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들어도 무거운 운동기구를 들었을 때와 같은 정도로 근육을 키울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
을 미국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8월 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나이가 20~22세인 건강한 남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시작했다. 지원자들은 무작위로 나뉘어 각각 최대 무게의 90%,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회상했다. 그러나 반복되는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고 연구자들은 확신 속에
논문
을 ‘사이언스’에 투고했다. 물론 이들의 발견이 성체 생쥐의 뇌에서 신경세포가 생성됨을 입증한 건 아니다. 뇌에서 꺼낸 뇌세포에 고농도의 EGF를 넣어 배양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웨이스 교수는 이런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최근 영국 옥스포드대의 연구팀은 분자 정신분석학(Molecular Psychiatry)지에 게재한
논문
에서 ‘LRRTM1 유전자’가 오른손잡이와는 다른 왼손잡이만의 특성과 뇌의 구조에 관한 단서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했다. 현재 조동기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