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육이 억제된다. 김미리 충남대 교수가 한국식품영양식량학회지에 1983년 소개한
논문
에 따르면 세균 이외에 효모는 15% 이상에서 활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2~15% 정도의 소금농도에선 효모 등 유익한 발효 세균은 살아 있고, 유해 세균의 활동은 최대한 멈추는 셈이다.채소를 소금에 절이는 방법은 ... ...
프랙탈 수학자 '만델브로' 별세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현상 속에서 규칙을 찾습니다. 만델브로는 1967년 영국의 해안선 길이를 재는 방법에 관한
논문
을 쓰면서 처음으로 프랙탈 개념을 이용했습니다. 구불구불한 해안선을 보면서 부분 모양이 전체와 닮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입니다.프랙탈은 번개 모양과 산이 만들어진 모양, 구름 모양, 나뭇가지가 뻗어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플라스틱 폴리스티렌이 된다.흥미롭게도 당시 헤크 교수는 혼자 이름으로 일련의
논문
을 발표했는데 노벨수상자 발표 직후 인터뷰에서 “사실 연구를 거의 혼자서 했다”며 “혼자 일하는 스타일이어서가 아니라 당시 그런 여건이었다”고 설명했다. 그 뒤 헤크 교수는 델라웨어대로 자리를 옮겼다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다. 이 연구 내용은 개막일인 11일 오전, 이번 컨퍼런스에서 공개되는 596편의
논문
가운데 첫 번째로 발표됐다.핵융합 연구에서 중성자 검출은 중요한 전기로 평가된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났다는 가장 확실한 ‘물증’이기 때문이다. 그 동안 KSTAR에서 이루어진 실험은 가속된 중수소가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연구를 진행했다.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은 올해 3월 11일자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에서 ENaC가 낮은 농도의 나트륨 이온, 즉 맛있다고 느껴지는 짠맛을 감지하는 데만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높은 농도의 이온(나트륨뿐 아니라 칼슘 등 다른 이온도 포함)을 감지해 먹지 말라는 짠맛 신호를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조셉 헨드릭 교수팀은 3월 19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
에서 15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게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집단이 크고 시장이 발달한 사회일수록 공정함과 처벌에 대한 기준이 엄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현대인의 친사회적 태도를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에머트 박사는 6월 19일자에 발표한 ‘지구물리학연구지’
논문
에 “뭔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한 일들이 열권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적었다.사실 열권이 줄어드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열권의 온도는 태양에서 나온 극자외선의 광자를 흡수해서 따뜻해지거나 이를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논문
에서 게르쇼프 박사는 부모의 체벌을 받고 자란 아이의 행동 특성에 대해 설명했다.
논문
에 따르면 체벌은긍정적인 면에서 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부정적인 효과는 많다.체벌은 아이가 부모의 말에 즉시 따르게 한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효과는 오랫동안 지속되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고분자에 푹 빠져있다.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는 석사과정 연구원들도 국제 수준(SCI급)의
논문
을 다섯 편씩 쓰고 졸업한다. 연구원 생활 동안 노하우를 익히다보니 확실히 후배보다는 선배들이 고분자를 잘 만드는 편이다. 기업에서도 장 교수의 연구실 출신 연구원들이 인기가 많다. 기자가 찾은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했다. 최근 10년 동안 수학
논문
수가 2.5배나 늘었고 2007년 세계적인 학술지에 낸 수학
논문
수가 세계 12위를 차지하면서 국제수학자연맹의 수학등급도 4급까지 올랐다.한국 수학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4년 뒤 2014 서울 ICM에서 한국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할 수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