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02
생각하면 된다. 흥미로운 발상이 아닌가.추분 9시에 우리나라를 하늘에 그대로 투영시켜
보자
.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해 사방으로 정확히 하늘로 투영시킨다. 그럼 현재 내가 있는 자리는 바로 머리 꼭대기, 즉 천정으로 투영될 것이다. 바로 이곳에 우리나라를 그릴 수 있다. 단 투영인 만큼 좌우가 ... ...
카메라 렌즈는 동그란데 왜 사진은 네모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요즘은 어딜 가나 카메라가 흔해졌어요. 필름 카메라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죠. 친구들도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어 본 경험이 있을 ... 걸로 생각하기 쉬운 것이지만 그런 것도 왜 그럴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 하고 생각해 보는 습관도 길러
보자
구요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01
이야기를 꺼냈다. 문제가 풀린 것은 그날 밤이었다. 다음 날 나는 사무실에서 베소를
보자
마자 “고마워. 그 문제 완전히 다 풀렸어!”라고 외쳤다. 그 때부터 5주 동안 정신없이 논문을 써버린 탓에 베쏘와 어디까지 이야기했는지는 정확히 생각나질 않는다. 하지만 이야기를 나누다 우리가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01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2000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자
. 마치 새 한마리가 날개를 접고 고개를 숙인 채 맛있는 모이를 먹고 있는 모양처럼 보인다. 새의 정체는 잘 알 수 없으니 닭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사실 사진의 주인공은 거문고자리에 있는 NGC6745다. ... ...
잃어버린… 아무도 모르계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번째 문제의 답 세 번째 문제는 관찰력이 필요한 문제다. 끊어진 선을 따라서 따라가
보자
. 경우의 연이 끊어져 있다. 네 번째 문제의 답경우의 집에 있던 도형은 칠교놀이에 관한 문제다. 일곱 개의 조각은 하나의 정사각형으로 짜 맞혀질 수 있다. 가장 큰 삼각형의 밑변은 사각형의 한 변의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01
내 시간과 네 시간이 다르다아인슈타인은 이 결과에 주목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
보자
. 상대적 공간 개념은 경험적으로 누구나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나와 내 옆에 있는 사람만 봐도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내가 그 사람에 대해서 상대적 공간에 있다고 생각한다.그렇다면 시간은 어떤가? ... ...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과학동아
l
200501
물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정답을 맞췄다.독자들도 편안한 마음으로 문제를 풀어
보자
.※ 아래 문항을 읽고 답하시오.1. 나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 )① 완전히 이해한다 ② 어느 정도 이해한다 ③ 잘 모르겠다 ④ 전혀 모르겠다2. 나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 )① 완전히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01
차원으로 빠져나가면 에너지보존법칙이 깨질 수도 있다.초끈이론으로 우주를 한번 바라
보자
.흔히 우주의 탄생은 빅뱅 즉 한 점에 뭉쳐 있던 모든 에너지가 폭발하면서 현재의 우주를 만든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초끈이론에서는 다른 이론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우주 탄생을 점의 폭발이 아니라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힘이 아닌, 위대한 다른 것이 있었다고!”선장은 격분해 소리치는 벼리의 태도를
보자
아차 싶었다. 지구인들은 감정의 동물이란 것을, 그리고 그 감정 때문에 사람을 미워하기도 하고, 집착하기도 하고 죽이기까지 한다는 것을 잠깐 잊었던 것이다.“미안해요, 벼리 씨. 벼리 씨가 하도 우울해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공부 방법은 없었을까? 사고실험(?)의 대가로 알려진 임지순 박사의 이야기를 살짝 들어
보자
.“이상하게 어려서부터 뭔가에 빠져들면 다른 것은 들리지 않았어요. 책을 보고 있을 때는 어머니가 밥 먹으라는 소릴 듣지 못할 정도였죠. 그렇다고 아주 안 들리는 것은 아니었지만요.”집중력. 임지순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