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있다.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에서 최첨단 나노신소재로 변신한 생체분자의 세계를 들여다
보자
.DNA가닥으로 만든 정8면체 먼저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매체인 DNA를
보자
. DNA가 나노소재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먼저 DNA이중나선의 크기가 나노스케일이기 때문이다. DNA는 5개의 탄소로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11
맞는 냄새를 찾아내는 것이다.후각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분자 수준’ 에서 살펴
보자
. 냄새 분자가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면 후각특수단백질(G단백질)이 활동하기 시작한다. 이 단백질은 수용체에 붙어 있는데 냄새 분자가 이 단백질을 깨우는 일종의 스위치가 된다. 스위치가 켜지면 G단백질에서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의 주제로 화제가 되고 있는 후각수용체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
.후각세포표면의 후각수용체분자는 냄새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 이들 분자를 이용하면 수많은 냄새를 인지하고 구별해 내는 인간의 코를 재현한 후각바이오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필자의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11
나이테. 이 사진은 지구 역사의 한 장면을 담고 있다.사진의 가운데 부분 나이테를 주목해
보자
. 536-537년에 형성된 이 나이테는 다른 주변 나이테와 달리 가운데 부분이 심하게 변형됐다. 이는 수액을 얼게 할 정도로 여름에 기온 이상 냉각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기상 재해는 근세 화산활동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이용한 애니메이션 구현을 예로 들어
보자
. 해변에서 파도가 밀려오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 예전 같으면 1초에 수십장 분량을 일일이 손으로 그려야했다. 요즘은 컴퓨터 그래픽이 나와 한결 수월해졌지만 그래도 장면을 수정하려면 잔손질이 많이 간다.“한번에 맘에 꼭 드는 영상이 얻어진다면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11
치료하는 유산균도 개발 중이다.막연히 몸에 좋다고만 알고 있던 유산균의 진가를 만나
보자
.어린이 설사에 탁월한 효과성인의 장에는 약 4백가지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다. 그 무게를 합하면 자그마치 1천g. 이 중에는 유익한 세균보다 해로운 세균이 더 많다. 장내 유해균은 각종 유해물질과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10
테이프는 산화철 테이프에 비해 음질 · 잔류자기력선속밀도(殘留磁氣力線束密度) ·
보자
력 등이 좋고 크롬 테이프와 함께 음악용에 적합하다강제 거푸집(metal form)을 사용하는 건설방법 기계적으로 강제 거푸집을 틀에 맞추어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부었다가 강제 거푸집을 떼면 콘크리트의 외벽이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10
원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최첨단 화학으로 주목받고 있다.한가지 예를 들어
보자
. 일반적으로 고체에 압력 등 자극을 가하면 아무런 반응이 없다. 그런데 백 교수가 세계 최초로 만든 신물질은 자극에 대해 생물처럼 움찔거리며 반응을 한다.또 반도체칩의 기능을 분자 크기에서 실현시키는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10
보인다. 과연 그럴까.발목을 안정되게 잡아주는 부츠를 사용하는 스키를 예로 들어
보자
. 초창기의 스키 신발은 지금의 부츠와는 전혀 다르게 생겼다. 보통 신발 모양의 가죽신발을 스키에 묶어 사용했었다.그러다 보니 스키를 타는 동안 발목부상이 속출했다. 그래서 발목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10
작용해 폭우를 만들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실험으로 재현한 루사의 경로를 따라가
보자
.씨구름과 먹임구름의 상호작용 루사 상륙 18시간 전인 2002년 8월 30일 오후 9시경. 영동지방에는 태백산맥의 동쪽 사면으로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부는 북동풍이 불어오고 있었다. 이 북동풍은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