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06
양쪽에 붙어있기 때문이다. 주파수가 낮은 소리가 오른쪽에서 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자
. 소리가 장애물을 넘어 그 반대쪽까지 전파되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하는데, 주파수가 낮으면 회절이 잘 일어난다. 오른쪽에서 난 소리는 우선 오른쪽 귀에 전달되고 회절 현상으로 머리를 돌아 왼쪽 귀까지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06
원제 ‘Extreme Earth’, 휘슬러)라는 책을 펴냈다. 지구의 극한 지역을 지면에서 감상해
보자
. 원초적인 지구물은 지구에 극단적인 두 얼굴을 만든다. 물이 풍부한 곳은 식물과 동물, 온갖 곤충으로 가득한 생명체의 천국이 된다. 비가 내리지 않으면 땅은 황무지나 사막으로 바뀐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06
늘어난다는 ‘무어의 법칙’이 바로 이런 기하급수의 법칙이다.한 가지 예를 더 들어
보자
. 언제나 내기에서 이기는 방법을 아는가? 방법이 있다. 이길 확률이 몇%이든지 내기에서 이기는 방법은 계속 내기 금액을 2배로 거는 것이다. 처음에 1만원을 걸어서 지면 그 다음엔 2만원을 건다. 그래도 지면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06
기술은 모두 761개다. 이 중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술 100가지를 살펴
보자
. 중요한 기술 100가지 중에는 ‘생명과 건강’ ‘우주와 지구’가 각각 22개로 가장 많았다. 100가지 기술 중에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훗날 개발할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순위 ---------- 기술 ---------- 국내 실현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06
화제의 주인공. 연구단이 공들여 설계한 ‘신세대’ 분자들을 만나
보자
. 모여라 나노분자연구단이 설계하는 분자는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 부분과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소수성 부분은 긴 막대 모양이고 친수성 부분은 꼬불꼬불한 사슬 모양.이 막대-사슬분자 수십~수백개를 ... ...
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과학동아
l
200506
법칙을 따라 진보하는가? 모바일 혁명이 예고하는 디지털 우주의 '빅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05. 기하급수의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만들어 버리겠다!”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답겹쳐진 그림자를 잘 살펴
보자
. 문제에는 네 번째 사람의 그림자가 빠져 있다. 정답은 4번두 번째 문제의 답그림자의 모양들이 비슷해서 조금은 헷갈리지만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05
알아주는 이 없이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 이번 달에는 소행성에 관심을 가져
보자
.세레스의 첫 발견천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새로운 기점이 마련된 사건을 들라면 아마 윌리엄 허셀의 천왕성 발견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행성은 오직 5개만 존재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여지없이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05
이전의 환경을 아직까지 지키고 있다. 우리 국토의 막내인 독도의 바다 속으로 들어가
보자
. 관상어의 낙원차가운 동해 해역에 한 줄기 따뜻한 물덩어리가 독도를 에워싼다. 가을철 독도주변 바다는 수온이 약 18℃로 같은 위도의 동해안 수중생태계보다 남해안의 제주도와 더 닮았다. 독도는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과목이라도 어떤 내용을 배우느냐에 따라 관여하는 뇌 영역이 다르다. 어학을 예로 들어
보자
. 대화할 때 우리는 상대방이 호의적인지 아닌지, 내 의견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직접 듣지 않고도 짐작할 수 있다. 이 같은 말의 뉘앙스나 문맥을 파악하는 것은 주로 우뇌의 역할이다. 반면 문법,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