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물체 조립하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사람의 개입 없이 바둑을 두는 상상을 현실화한 셈”이라며 “대형마트나 물류창고의
전류
가 흐르는 현장에서 위험한 작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차미영·문수복 KAIST 교수, ACM 인터넷측정학회 테스트 오브 타임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에너지를 모을 수 있다. 김회준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한 발전 소자는 최대 전압 20V,
전류
250㎁를 달성해 전자계산기나 손목시계 같은 소형 전자기기 전력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가 발전 진동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어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왜곡 신호 없는 전자전도 정량적 추출 방법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거칠기가 큰 시료에서 전도성 원자력 현미경(C-AFM) 운용 시 발생하는 왜곡 정보인 용량성
전류
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어슨 상관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해당 왜곡 정보를 제거했다. 또 이 방법론을 실리콘·흑연 기반 복합 음극에 적용해 도전재 성분에 따른 전자 전도 채널 영상화를 실시했다. 이를 ... ...
이경진 KAIST 교수, 美 물리학회 석학회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이론은 국내 반도체기업이 양산 중인 자성메모리(MRAM)의 핵심 구동원리다. 이 교수는
전류
에 의한 자화거동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산업적으로 응용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받았다. 이 교수는 “오랫동안 한 분야 연구에 집중해온 연구자로서 학문적 성취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 ...
원안위, 한수원 고발..."고리2호기 안전성 보고서 1년 늦게 제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6월 내부차단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며 안전성에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고리원전 측은 과
전류
로 발전기 차단기가 손상된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탈원전 시민단체인 탈핵시민행동은 7월 기자회견에서 한수원이 PSR 보고서 제출기한을 어긴 것에 대해 "한수원이 법령을 어기고 감독기관인 원안위는 ... ...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현장서 포착된 배터리 '스파크' 정체는
2022.10.17
분리해 쇼트(합선)를 막는 구조물이다.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재와 음극재가 만나
전류
가 흘러 스파크가 튈 수 있다. 홍 교수는 "유기물로 이뤄진 전해질이 열 안정성이 낮고 가연성이 높아 화재의 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 물리적 손상 역시 배터리 내부 쇼트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
한 번 충전으로 630km 달리는 '무음극 배터리'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팽창을 최소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무음극 배터리는 고용량, 고
전류
밀도로 오랫동안 높은 용량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음극 배터리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는 1리터(L)당 977와트시(Wh‧전력량의 단위)로 기존 상용화된 배터리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 1리터당 70 ... ...
원안위, 신월성 2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9.20
마치고 전동발전기를 재투입하는 과정에서 두 발전기의 전압이 동기화되지 않아 과
전류
가 발생하며 두 발전기의 출력차단기가 동시에 개방됐다. 원안위는 "원자로가 자동정지된 이후 원전 운전원의 안정화 조치가 관련 절차서에 따라 수행됐고 안전설비가 정상 작동했으며 발전소 내·외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물질로 그래핀이 주목받았지만 밴드갭이 너무 작아 점멸비가 낮고, 반도체 내에서
전류
흐름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기 반도체의 전하이동도를 높일 새로운 구조체를 고안한 끝에 두 종류의 화학물질인 헥사아미노벤젠(HAB)과 다이하이드록시벤조퀴논(DHBQ)을 반응시켜 HP-FAN ... ...
차세대 대용량 전지 '리튬금속전지' 출력·안정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리튬이 중공 코어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전극면에 부착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높은
전류
밀도 조건에서 500회 이상 충·방전을 거쳐도 용량이 82.5%로 유지되는 등 배터리로서 성능도 우수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리튬금속전지는 고용량이라는 장점에도 안정성 문제로 상용화까지 넘어야 할 산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