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 보호막으로 수명 늘린 리튬 금속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엄광섭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배터리 내부 음극과 양극에
전류
를 공급하는 부분인 '구리 집전체'에 전기화학적 전처리로 리튬 금속 전지 용량 유지율 및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스몰'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개발된 구리 ... ...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전지 상용화 이끌 '황화실리콘'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전도도와 수분 안정성이 높아진다. 하 책임연구원은 “이온 전도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전류
를 빨리 흘릴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곧 전지의 출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며 “수분 안전성이 높아지면 고체전해질 제작 공정이 용이해진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황화실리콘 제작 공정 난도가 높다는 ... ...
OLED 소재로 AI반도체 소자 개발…정보 저장·연산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소자의 출력
전류
가 낮게 조절돼야 하는데 초박막절연체를 트랜지스터 내부에 도입해
전류
를 제어함으로써 대규모 AI 연산에 활용할 수 있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신소자를 이용해 손글씨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분류한 결과 정확도가 98% 이상으로 나타나 향후 고성능 AI 시스템에 ... ...
우주선·위성에 쓰이는 고전력 전기추력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부품인 양극을 구리로 제작해 내열성을 확보했고 음극은 토륨-텅스텐 재질로 설계해
전류
를 2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데 성공했다. 절연체는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으로 만들어 플라즈마의 안정성을 높였다. 우주기술 선진국의 10㎾급 전기추력기 추진력은 300~600밀리뉴턴(mN))으로 ... ...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이 효소를 얼리거나 80도 이상으로 가열해도 수소에서
전류
를 만드는 기능에는 문제가 없었다. 연구팀은 후크 효소가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적인 기술로 발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수소량이 적고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 ...
반도체 소자 속 미세 움직임 찍는 초고속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높낮이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펄스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 파동을 뜻한다. 이 기술은 가로 6.4mm, 세로 2.4mm 영역을 1024 x 882 픽셀 해상도로 측정하는데 3.47 밀리초 (ms·1ms는 1000분의 1초) 밖에 소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당으로 따지면 약 300회 측정이 가능한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증가하고 발광 효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있다. 또 픽셀화를 위한 패터닝 및 누설
전류
를 막기 위한 후공정 과정 등 여러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 조 교수팀은 집속 이온 빔으로 복잡한 전·후 공정 없이도 마이크로미터 스케일 이하의 크기까지 픽셀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집속 이온 ... ...
척수 전기 자극으로 뇌졸중 환자 팔과 손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보조적이라 환자가 움직이려고 시도할 때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전류
를 흘리면 무조건 팔과 손이 움직이는 게 아니라 환자의 의지 하에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자극의 효과는 장치를 제거한 이후에도 연구팀이 예상했던 것보다 오래 지속돼 장기적인 ... ...
효율·안정성 높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능력이 낮은 데 비해 역구조에서는 전자수송 물질의 수송 속도가 좋아 정체 현상이 없어
전류
-전압 곡선 측정 시 자극에 받는 영향인 히스테리시스도 적다. 다만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적절한 정공수송 물질이 없어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유기 반도체 물질을 정공수송층에 ... ...
반도체 변압기 활용 전기차 급속 충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변환 기기다. 기존 변압기와 비교해 자유롭게 전압과
전류
를 조절할 수 있고 무게와 부피, 시스템의 단순화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연구팀은 단순히 전기에너지를 고전압 교류에서 저전압 직류로 바꾸는 고성능 반도체 변압기 개발을 뛰어넘어 이를 에너지 저장장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