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먼 우주를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태양 빛 가림막이에요. 12월 22일 예정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발사를 앞두고, 망원경의 개발 과정과 임무를 NASA 과학자들에게 직접 물어봤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먼 우주를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Part1. [특집] 제임스 웹! 너는 누구니?Part2. [특집] ... ...
-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만든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참여한 15년의 세월이 결실을 맺을 것을 약속하는 만큼 기대하는 마음이 큽니다. Q발사를 앞두고 어떤 감정이 드나요?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아주 민감해서 빅뱅 이후 태어난 멀리 떨어진 은하와 성운, 이들로부터 형성된 별과 행성까지 탐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이미 궁금해 하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상상해 보세요. 지구에서 산소를 챙겨가지 않아도 달에 있는 산소로 생활할 수 있으면 발사 비용도 절감하고 정말 편하겠죠? 여러분께 달에서 산소가 발견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단, 지구에서처럼 산소가 기체 형태로 존재하진 않고, 달 표면을 덮고 있는 미세한 모래와 먼지층인 ... ...
- [기획] 어린이 과학동아 2021기사 본격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게 너무 감격스럽고 기뻤어요. 성공은 못 해서 좀 아쉽긴 해요. 누리호를 다시 발사할 때까지 응원해요!● 박연수 기자 기사를 쓰면서 저도 많은 용기를 받았어요. 꿈을 이루기 위해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누리호처럼 어린이 여러분도 도전을 아끼지 마세요! 항상 응원할게요♥ 2021년 노벨상 (11월 1 ... ...
- [만화 뉴스] 화성에서 돌아오는 연료, 미생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10월 25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닉 크루이어 박사팀은 화성에서 키운 미생물로 직접 로켓 연료와 산화제를 생산할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미생물 연료’ ... 화성행 로켓의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추진제 : 로켓을 발사하는 데 쓰이는 연료 ... ...
- [가상 인터뷰] 누리호, 드디어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있거든.2차 발사는 내년 5월 19일로 예정되어 있어. 이후로도 2027년까지 4번에 걸친 추가 발사가 예정되어 있지. 앞으로도 누리호가 더 잘 날기를 바라줘 ... ...
- [이달의 과학사]1998년 11월 20일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 건설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한 번에 모든 부품을 발사할 수 없어 우주정거장을 구성하는 부품인 모듈을 하나씩 발사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원래는 2005년 완성 예정이었으나 경제 위기와 사고로 건설이 지연되었고, 지금도 새로운 모듈이 추가되는 중이지요.그 결과, 그 어떤 인공위성보다도 거대한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다시 출발할 준비를 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우주쓰레기 처리반장 ‘제니’를 만난 수연이와 동글이. 수연이는 우주선에서 수거한 우주쓰레기를 처리할 방법을 물었다. “이 정도 크기라면 지구를 향해 발사하면 됩니다. 지구 대기권과 부딪치면서 다 불타 없어질 거예요.”수연이와 동글이는 제니를 따라서 우주쓰레기 발사장으로 향한다.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쏘아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된 로켓으로,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했어요. 로켓을 발사하는 기술은 전 세계에서 여섯 국가만 가지고 있죠. 이 기술을 발전시키면 언젠가 우리 기술로 우주여행을 떠날 우주선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우리나라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자, 그렇다면 여기서 별빛미션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하지만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진 건 우주 탐사선들이 목성을 지나가면서부터예요.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 2호가 목성을 지나가면서 비로소 이 대적점이 고기압성 소용돌이라는 것이 밝혀졌지요. 지난 9월 27일에는 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국 등 공동연구팀은 대적점의 속도가 변했다는 연구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