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30 달 찍고 화성 간다! 아르테미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2030 달 찍고 화성 간다! 아르테미스Part1. [기획] 발사 준비됐나? 아르테미스 1호Part2. [기획] 2022년은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 만나는 해!Part3. [기획] '마르스'를 향한 아르테미스의 기나긴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발사체를 날리는 힘 연료!수학동아 l2022년 05호
- 5t(약 88%)이나 되거든요. 따라서 최적의 연료량을 계산해 원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도록 발사체를 설계하는 것이 우주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지름길이랍니다 ... ...
- [특집] 우주선을 타고 날아서 슝~!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몸통 박치기!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1월 다트(DART)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발사했어요. 다트의 임무는 지구로부터 약 1100만km 떨어져 있는 천체 ‘디모포스’와 ‘몸통 박치기’ 하기!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서, 움직이는 방향을 바꾸는 게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랍니다. 만약 ... ...
- 한국 유일의 시추 시설, 동해 가스전의 불꽃이 꺼졌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해저지형 탐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에어건은 압축된 공기로 만든 인공 지진파를 발사한다. 인공 지진파는 바다와 해저지형을 통과하며 지형의 물성에 따라 반사된다. 반사된 신호는 해수면에서 3~6km 펼쳐둔 스트리머 수진기에 의해 수집돼 분석을 거친다. 스트리머 수진기 내부의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용해 암흑물질의 흔적을 잡는 아이스큐브(IceCube)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12월 발사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인류가 만든 가장 밝은 눈으로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는다. 암흑물질이란 개념이 생긴 지 90여 년이 흘렀다. 그야말로 지구 안에서 그리고 지구 밖 우주에서 암흑물질을 찾기 위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친절한 우왁족과 거대 괴물 부르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귀를 의심했습니다. 우왁족이 계속 설명했습니다. “부르르는 가끔 땅 위를 향해 오줌을 발사한다. 그 오줌이 땅에 고여서 연못이 되는데, 우리는 그 오줌을 퍼다가 집을 따뜻하게 덥힌다.”“자, 잠깐만요. 그럼 아까 우리가 몸을 데운 온천이….”딱지가 더듬거리며 해롱 선장과 용용을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에너지가 0보다 작으면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보다 크다는 뜻이므로, 발사체는 지구를 탈출하지 못해요. 반면 역학적 에너지가 0보다 크면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보다 더 커서 지구를 탈출할 수 있어요.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가 0일 때의 속도가 탈출 속도가 된답니다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비등방성). 2001년엔 더블유맵(WMAP) 위성이, 2009년엔 플랑크(Planck) 위성이 발사돼 우주배경복사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이 밝혀졌다. 현재는 우주배경복사가 측정 방향에 따라서 전체 면적의 10만 분의 1 정도로 균일하지 않다는 것이 알려졌다. 우주배경복사의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따라 달라져요. 예를 들어 복불복 변숫값이 1이면 빨간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화살을 발사하고, 파란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공중부양 효과를, 노란색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는 점프강화 효과를 부여해요. 12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 ... ...
- [특집] 우주, 얼마나 넓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만유인력의 법칙’을 세상에 알렸지요. 이후 사람이 우주로 날아가고,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시대가 되면서 수학은 더욱 중요하게 쓰였답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로 꼽히는 아인슈타인은 1915년 우주에 ‘블랙홀’이 있다고 예측하는 수학식을 발표했어요. 2019년 실제로 블랙홀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