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2,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03
실 끝에 클립을 연결하면 간이 클리노미터가 완성됩니다.마지막 관문은 클리노미터로 대
나무
의 키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순조의 세자로 책봉됐던 문조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전주한옥마을 수학산책을 마치며많은 나라에서 화폐에 그 나라의 역사적인 인물을 넣습니다.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흰개미 굴에 나뭇가지를 넣어 낚시를 하거나, 돌을 이용해 딱딱한
나무
열매를 깨먹기도 하지요. 높은 곳에 있는 과일을 따기 위해 긴 막대기를 이용하거나 바닥에 상자를 쌓아 올리기도 해요.특히 단기기억력이 좋아서 숫자 순서 맞추기 퍼즐은 대학생보다 빨리 풀기도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약이나 식품으로 팔고 있거든요. 높은 나뭇가지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를 얻기 위해
나무
전체를 꺾거나 베어 버리는 경우도 있지요. 이 과정에서 숲이 훼손되고 겨우살이들도 멸종위기에 처하게 됐답니다.만약 지금과 같이 겨우살이를 마구잡이로 채취하고 숲을 훼손하는 일이 계속되면 우리나라의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03
하얀 연기를 일으킨다. 연기는 놀랍게도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흰 구렁이처럼 기다랗게
나무
틈새를 지나고 풀 위를 기어 아오에 교수에게 다가왔다. 그에게 다가와 한동안 맴돌던 연기는 시간이 지나자 점차 사라져버렸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를 고체로 만든 것으로, 영하 약 78.5℃에서는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03
톱을 잘 쓰는
나무
꾼과 도끼를 잘 쓰는
나무
꾼이 함께 힘을 합치면 혼자 할 때보다
나무
를 훨씬 쉽고 빠르게 벨 수 있는 것처럼 말이에요.그렇다면 수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어떤 대화를 하나요?세계 수학자가 모이는 학회 풍경도 과학계와는 많이 다르답니다. 실험을 주로 하는 과학자들은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
수학동아
l
201603
반짝 나타나는 만능 농장이거든요. 농작물이 다 자란 밭을 누르면 낫이, 과일이 다 익은
나무
를 누르면 바구니가, 소와 돼지, 벌을 누르면 각각 우유와 고기, 꿀을 얻을 수 있는 도구가 나타나지요.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면서 휘릭휘릭 소리와 함께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
과학동아
l
201603
것이다.암컷 유혹하려 등 장식한 수컷 악어트라이아스기는 악어의 황금기였다. 흙 속의
나무
뿌리를 뜯어먹는 채식주의자부터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육상 포식자까지 원시 악어의 종류는 다양했다. 또한 이들 중에는 당시 최상위 포식자도 있었다. 슈보사우루스와 함께 쿠퍼캐니언층에서 발견된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
質)’은 ‘바탕’을 뜻해요. 모탕은
나무
를 패거나 자를 때 받쳐놓는
나무
토막이에요.
나무
를 팰 때 꼭 필요한 물건이지요. 여기에 ‘재물’을 뜻하는 조개가 더해져 사람이 살아가는 데 기본이 된다는 의미가 되었어요. 따라서 ‘매질’은 물리적인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해 주는 물질을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02
익룡이 등장한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 몸집도 다르고 생활 방식도 달랐기 때문에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
수학동아
l
201602
장식용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기능적인 용도로도 쓰이는데, 목조건물에서 비바람에
나무
가 썩지 않도록 보호해준다.심미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단청의 기하학적인 무늬에서 수학적 규칙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평면의 대칭군’이다. 평면의 대칭군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무늬에 따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