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2,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
나무
수학동아
l
201607
높은 층이 보인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쌓기
나무
대신 연결 큐브를 쓰면 모양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
과학동아
l
201607
악취를 감추는 일종의 ‘마스킹 공법’이었다.하지만 도시가 점점 커지면서, 오렌지
나무
로도 한계가 왔다. 사람들은 악취가 나는 물질을 땅 속으로 숨기는 오늘날의 하수도 시설을 고안했다. 하수도 시설은 크게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나뉜다. 합류식은 수세식 화장실에서 발생한 분뇨와 주방폐수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
과학동아
l
201607
수분 상태가 어떨 때 위험한지 밝힐 수 있다.산을 오르는 동안 채 센터장은 쓰러진
나무
한 그루만 봐도 산사태 때문인지 살폈다. 마침 중봉과 제석봉으로 향하는 길목에는 마치 날카로운 갈퀴가 파고 내려간 듯한 산사태 흔적이 남아 있었다. 채 센터장은 “우리나라 산사태는 폭이 5~10m 정도로 좁은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07
먹잇감으로 노린다. 그래서 아놀도마뱀은 몸을 숨기기 좋도록 비늘이 초록색이다.
나무
위에 꼭꼭 숨어있는 아놀도마뱀을 찾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하지만 제 아무리 위장술이 뛰어난 아놀도마뱀이라 하더라도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잠시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 아놀도마뱀은 부채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06
사진처럼
나무
판자를 조립해 만든 다리를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다리’라고 합니다.
나무
판자를 규칙적으로 조립하면 다빈치의 다리가 완성됩니다.여러분은 지오데식 돔을 본 적이 있나요? 제주 올레 8코스를 걷다 보면 지오데식 돔 형태의 서커스 공연장을 볼 수 있습니다. 왜 공연장을 지오데식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06
이 사과 때문에 여기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혀 있지. 내가 출구 쪽으로 가기만 하면 사과
나무
에서 사과가 우르르 떨어져 출구를 막아버리거든.”“그러면…, 아! 아이작 뉴턴이요?”기적의 해 1666년사과를 들고 있는 남자는 17세기 과학혁명을 이끈 뉴턴이었다.“정말 죄송해요. 하긴 스티븐 잡스는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
과학동아
l
201606
모래 등에 덮인 뒤 오랜기간에 걸쳐 목질 부분이 석영으로 치환된 것이다. 겉보기에는
나무
같지만 실은 광물질이다. 흔히 알고 있는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화석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광물의 희귀성만큼 중요한 소장 이력사진 속 표본은 칼라하리 사막의 망간광상에서 1970년쯤에 채집한 ... ...
[헷갈린 과학] 산수유
나무
VS생강
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잎맥은 가지 쪽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여름이 되면 생강
나무
에 작은 콩처럼 생긴 초록색 열매가 열려요. 꽃처럼 가지에 붙어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익으면서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되면 검은색을 띠어요. 이 열매는 먹는 기름을 짜는 데 쓰이지요. 도시나 마을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
나무
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06
배출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구한 세월 동안 황금대
나무
여우원숭이와 대
나무
가 공진화를 해왔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현재 지구상의 모든 살아있는 영장류들은 살벌한 생존게임의 최종 승자다. 이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6
e6’라는 점안액을 개발해 2015년 3월 직접 실험했다. 실험 참가자는 어둠 속에서 50m 밖
나무
가 우거진 곳에 서 있는 사람을 알아봤다. 정확한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캐나다의 ‘오큐메틱스테크놀로지’사는 슈퍼시력을 만들 수 있는 생체렌즈를 개발했다. 지름 8mm의 투명한 렌즈이며, 가장자리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