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레터’에 실렸다. 누가 맞는지는 아무래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불확정성원리는 물리학조차 완전하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괴델의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예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불확정성원리는 양자역학을 이끌어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가정이며,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결국 결정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했다.지난 해 12월에는 일본 쥬오대학 이공학부 물리학과, 물질재료연구기구, 도호쿠대학 다원물질과학연구소, 영국 리버풀대학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3차원 준결정 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간 많은 준결정은 2개 이상의 원소로 ...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던지기와 비교해 보자. 주사위를 던질 때 주사위의 각 면이 나올 확률은 1/6이다. 하지만 물리학자라면 주사위의 첫 위치와 속도를 이용해서 궤적을 계산해 어느 면이 나올지 예측할 수 있다. 즉 뉴턴역학에서 무작위적인 주사위 던지기란 없다. 다시 말해 엄밀한 의미에서 확률은 필요없다. 하지만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1970년대부터 ‘황금비의 오해’라는 주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그 중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마리오 리비오는 자신의 저서 에서 황금비를 나타내는 기호 ‘phi(φ)’ 때문에 파르테논 신전이 황금비를 따른다는 오해가 생겼다고 주장했다.황금비의 정의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있었지만, ...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교수는 “지하 몇 km로 내려가면 지진으로 흔들리는 정도가 지층에 비해 적어 처리장에 물리적 손상이 적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방식 역시 1970년대에도 있었지만, 기술과 비용 등의 문제로 대안으로 꼽히지 못했다. 그러나 시추 기술이 석유 개발과 함께 발전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독일은 이 ... ...
- 거울로 보면 ‘수학’과 ‘물리학’은 닮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수학이 이론적으로 뒷받침했기 때문”이라며, “현재는 물리학 이론들을 설명할 수학 이론들이 부족한데, 쿼지맵 이론이 초끈이론의 해결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생생 인터뷰교수님께서는 서울대 수학과 졸업, 미국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박사 등을 거쳐 수학자가 ... ...
- 가속기가 지구 멸망 시키나?과학동아 l2014년 03호
- 2000년 가동을 시작한 뒤 줄곧 세계 최대 가속기 지위를 유지하다가 2010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등장하면서 2위로 밀려났지만, 오바마 행정부의 거대과학 예산 삭감 바람에도 살아남으면서 현재 미국이 운영하는 유일한 가속기라는 타이틀을 지켜왔다. 하지만 최근 미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개선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영국의 가금연구소는 암탉이 편안히 쉴 때 필요한 물리적 면적을 637cm2라고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닭 한 마리에 배당된 면적은 225cm2로 A4용지 반에도 못 미친다. 이런 좁은 환경에서 닭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떨어지고 질병에 취약해진다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이때 자극의 전기적인 신호를 맛의 양으로 변환하는 수식이 바로 독일의 생리학자와 물리학자인 에른스트 베버와 구스타프 페히너가 만든 ‘베버-페히너의 법칙’이다.베버-페히너의 법칙은 감각기관을 통해 느낀 감각의 양(S)이 자극 강도(I)의 로그값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S=K×logI + C)로 나타난다 ... ...
- “하늘을 나는 자동차 만들어 볼래요?”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미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Q. 기계항공공학부에는 어떤 사람이 어울리나요?A. 일단 물리와 수학, 화학에 대한 흥미가 있어야겠지요. 또 일정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요. 무엇보다도 자기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 할 수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미래기술을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