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분야를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탄탄한 기초과학 지식이다. 네어 교수는 “물리학, 화학, 수학 지식이 바탕이 돼야 이런 분야를 잘 할 수 있다”며 “생명 과학도도 생물학만 배울 게 아니라 기초과학을 깊게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를 도와준 강봉균 교수는 “요즘 한국 대학은 1,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해외 과학자의 번역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우주의 끝을 찾아서’는 현대천문학·천체물리학을 이야기하는 국내 서적 중손에 꼽힐 정도로 쉽게 읽히는 책이다. 물론 내용이 쉽다는 말은 아니다. 저자의 글실력은 과학동아 이번 호 특집에서 맛볼 수 있다.우주의 근원과 비밀을 찾는 일은 지금도 ...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재미이듯, 강팀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쥘 비책은 없을까?열혈 축구팬이자 물리학자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인호 박사는 약팀이 강팀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흥미로운 시도를 했다. 이인호 박사는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에서 일어난 경기를 바탕으로 ‘약팀’이 ‘강팀’을 ... ...
- 러시아 수학자 야코프 시나이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따라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일컫는다. 수학자와 이론물리학자가 모두 연구하는 분야로, 동역학계를 연구하면 우주의 움직임을 계산할 수 있다. 에르고딕 이론은 이런 동역학계를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로, 입자 하나가 같은 에너지를 갖는 곡면의 모든 부분을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크고 매우 복잡하다. 그렇다면 전력망의 크기는 클수록 좋을까?최근 미국 알래스카대 물리학자인 데이비드 뉴먼 교수 연구팀은 전력망의 크기가 큰 것이 오히려 독이 된다고 설명했다. 뉴먼은 마치 이것을 모래산에 빗대 설명했다. 모래산은 일정한 높이에 이를 때까지는 안정적이지만, 거기에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건 클라인을 교수로 초빙하면서부터였다. 1886년 수학과 교수가 된 클라인은 수학을 물리학이나 공학에 응용하는 데 관심이 컸다. 그 당시 우수한 수학자들 중 상당수가 공학자 출신이었기 때문이 었다. 그는 이 부분을 괴팅겐 대학교가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해 제자인 린데만에게 다양한 학문의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족으로부터 ‘셉터’라는 창을 얻었다. 셉터의 주 요 기능은 상대를 세뇌하는 것. 물리학자인 에릭 셀빅 박사는 물론 쉴드의 1급 요원인 호크아이조차 순식간 에 세뇌당해 로키에게 충성을 다한다.‘세뇌’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의 흥미를 끄는 소 재다. 하지만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하면서 그때 필요한 수학을 배우는 거죠. ‘앵그리 버드’를 이용해서 수학과 물리를 가르치는 프로그램도 있어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죠? 앞으로 저도 게임 데스크와 같은 일을 하고 싶어요. 이제 게임 중독자가 돼서는 게임 개발자가 될 수 없는 걸 알겠죠?게임 데스크처럼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2) 어떤 기초학문이 특히 중요한가요?A 재료공학부는 모든 학문이 연결되어 있어요. 물리, 화학, 생물, 즉 자연과학은 기본적으로 다 알아야합니다. 당연히 자신이 연구하는 재료에 쓰이는 분자에 대해 잘 이해해야겠죠? 한 단계 더 응용하려면 기계공학, 전기공학 등 관련 공학을 공부해야합니다. ...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계산한 사람은 영국 에딘버러대 체이피터슨 박사다. 기체의 농도변화와 용해도에 관한 물리학 법칙인 ‘픽스의 법칙’과 ‘헨리의 법칙’을 이용해 지속생존 가능한 에어포켓의 최소 지름을 계산했다(지면상 계산은 생략한다). 피터슨 박사가 구한 에어포켓의 크기는 지름 400m. 참가자들은 이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