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발전했다.그렇다면 메타물질을 이용한 스텔스 잠수함은 가능할까. 이삼현 연세대 물리
학과
교수는 “잠수함에서 가장 음파가 심하게 발생하는 프로펠러 장치 정도는 메타물질로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뢰의 프로펠러 음파만이라도 메타물질로 완벽하게 차단한다면, 소리나 흔적도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가장 최근 나온 ‘멀티 유니버스’의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
학과
교수는 이 분류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에 소개된 다중우주의 순서는 4단계 우주와 거의 비슷하다. 이 기사에서는 끈이론과 관련한 부분을 따로 파트로 묶었기 때문에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고등과학원 물리
학과
석좌교수이기도 한 레너드 서스킨트 전 미국 스탠포드대 물리
학과
교수는 이렇게 다양한 에너지 안정도를 지닌 광범위한 상태 목록의 조합을 봉우리와 골짜기가 있는 자연에 비유해 ‘풍경(또는 경관. 랜드스케이프)’이라고 이름 지었다.등장 풍경 속 다중우주의 탄생◀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애려면 올바른 식습관과 함께 유산소 운동이 필수적이다.미국 듀크대 운동생리
학과
크리스 슬렌츠 교수팀은 평소 운동을 하지 않는 196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8개월 간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하게 한 뒤 내장지방 감소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유산소 운동을 한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내장지방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주가 정말 갈라질지 알 방법은 더더욱 요원하다. 데이비드 앨버트 미국 컬럼비아대 철
학과
교수(물리철학)는 2007년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어느 해석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중첩 현상을 실험하고 있지만, 1000개 입자를 실험한 정도에 불과하다”며 “일부 학자들이 106개 입자를 지닌 ... ...
1919년 경성, 물리
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떠난 교수들이 박사 과정을 마치고 대학으로 되돌아오면서 1960년 전후로 각 대학 물리
학과
및 한국물리학계가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억눌려 왔던 배우고 가르치고자 하는 열망이 광복 이후 15년 뒤에야 대학 수준에서 이뤄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200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 5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의료 기록은 환자의 여러 가지 질병 정보가 담겨 있는 복잡한 데이터다. 정하웅 KAIST 물리
학과
교수는 “의료보험 진료 기록을 이용하면 질병과 사람 사이의 네트워크 관계를 규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의료 데이터는 환자의 개인정보에 속하기 때문에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외에는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과격한 주장이다. 장소에 따라 물리학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구의 물리
학과
안드로메다 은하의 물리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물리 법칙은 우주 어디에서나 그리고 어느 때에나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물리학을 부정하는 것이다. 다른 물리상수들도 달라질 수 ... ...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렇다면 이런 기회를 놓칠 수 없죠. 수학을 품은 패션의 세계에 대해 알려 주세요! 수
학과
패션은 전혀 관련 없는 줄 알았는데, 수학을 소재로 패션쇼까지 열리다니 굉장해요! 그나저나 도니 아저씨, 제 옷은 어때요? 황금분할과, 함브리지비, 착시를 이용해서 멋지게 코디했어요. 긴 허리는 감추고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 갈렉스 계획에는 연세대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단장 이영욱 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교수)도 참여했다. 2007년 갈렉스는 하늘 전체를 자외선으로 관측한 지도를 완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은 갈렉스로 과거 나이 든 별들만 있다고 생각했던 타원은하에서도 새로운 별이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