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포화 현상을 관찰하기 쉽기 때문이랍니다. 우리나라에도 가속기가 세워진다고? 우리나라 기초과학연구원에서도 ‘라온’이라는 이름의 중이온가속기를 건설하고 있어요. 라온은 RHIC와 LHC처럼 높은 에너지로 입자를 가속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입자를 목표물에 충돌시켜 새로운 원자핵을 ... ...
- [기획] ‘정상 체온’은 어떻게 결정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알려졌어요. 효소는 우리 몸에서 수많은 생화학반응을 촉진시켜요. 음식물을 분해해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소화효소를 비롯해, 생명 유지를 위한 다양한 대사활동을 돕지요. 모든 신체 효소가 정상 체온에서 가장 빠른 반응 속도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정상 체온 부근에서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통해 기후위기가 미래세대의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할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우리 몸은 더위를 느끼면 피부 표면의 혈관을 확장시켜 열을 방출하고, 땀을 배출해 체온을 낮춰요. 그런데 과도한 열에 노출되면 적정 체온을 조절하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정상 체온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지닌 앙부일구는 당시 조선의 과학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지요.이번에 우리 품으로 돌아온 앙부일구는 지름 24.1㎝, 높이 11.7㎝, 무게 약 4.5㎏이며 당시 앙부일구가 설치됐던 한양의 위도가 표시되어 있어요. 다리 부분에는 용과 거북 머리 장식이 있지요. 한국천문연구원 김상혁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특히 모르는 것이 있을 때 댓글로 알려주신 대원들과 연구원님, 매니저님 감사해요. 우리나라 남쪽 끝, 땅끝마을 해남에서도 더 아래쪽에 큰 섬 완도가 있어요. 올해 지사탐은 처음으로 완도 지역에서 활동하는 지사탐 대원이 함께했지요. 이번엔 올해 첫 탐사지만, 누구보다 열심히 활동한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스미소니언 동물원에서는 자이언트판다와 레서판다 인공번식이 이뤄지고 있었어요. 우리는 이 과정을 직접 관찰하며 인공수정에 대한 기술을 전수받기로 했습니다. 새벽 5시 스미소니언 동물원에 도착해 보니, 이미 마취총을 맞고 잠든 자이언트판다가 수술대에 누워 있었습니다. 수의사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참 쉽죠~?” 오늘은 내가 밥 아저씨! 에코백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점을 나란히 찍으면, 각각의 색에 부딪혀 반사된 노란색과 파란색 빛의 파장이 섞여 우리 눈에는 녹색으로 보이죠. 유명한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의 작품인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가 대표적인 점묘화랍니다. 작품 속 평화로워 보이는 풍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초록색과 빨간색 등 여러 ... ...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자단 친구들에겐 AI 강아지 로봇을 직접 조립하고 먹이를 주라는 미션이 주어졌어요. 우리 친구들, 과연 미션에 성공했을까요? 나와 짝꿍을 구분하는 AI 지니?!와이즈 교육 오예슬 주임님은 KT 본사에 도착한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주었어요. 책상에는 독자 기자들을 위한 컴퓨터 4대와 육면체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은백색을 띠지요. 하지만 금은 청색 계열의 빛은 흡수하고, 노란빛만을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노란색으로 보여요.노란빛 금의 색을 바꾸는 방법도 있어요. 금과 다른 금속 원소들을 섞으면 여러 색의 합금을 만들 수 있어요. 반지나 목걸이 등 귀금속에서 자주 쓰이는 로즈골드는 금에 구리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단공류, 절대온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가시두더지 4종 등 총 5종의 단공류가 남아있답니다. 절대온도(絕對溫度) 우리는 일상에서 섭씨온도(℃)를 주로 쓰지만, 과학자들은 섭씨 말고 다른 온도 체계를 쓰기도 해요. 바로 ‘절대온도(K, 켈빈)’지요.절대온도는 1848년, 영국의 수리물리학자인 켈빈 경(윌리엄 톰슨)이 만들었어요. 분자는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