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하는 재료를 사용해요. 필라멘트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데,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3D 프린터는 ‘ABS’나 ‘PLA’라고 하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삼지요. 3D 프린터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선 먼저 출력하고 싶은 물건을 3D 도면으로 만들어야 해요.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CAD’로 ... ...
-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신약 개발에 쓸 수 있어요. 우리 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항원’이 침입하면, 우리 몸은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원에만 달라붙는 ‘항체’ 단백질을 만들어요. 그런데 이런 항체를 항원에만 달라붙게 인공적으로 디자인해서 신약으로 이용하는 거죠. Q. 만든 항체가 효과가 있는지 어떻게 알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대륙을 발견한 이후의 세계는 차원이 다르다. 알파폴드2가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우리의 예상보다 빠르게 생체 내 분자를 탐구할 수 있는 훌륭한 성능을 갖춘 AI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CASP14 학술대회에서 “향후 디지털 가상 세포를 구축하고자 ... ...
- 따뜻한 지구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땅속 화석연료를 사용했고, 지구를 따뜻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우리는 산업화 이후 무려 기온 3℃ 상승이라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짝짝짝. 오늘은 창간 116주년을 맞이한 과학동아가 그동안 전 세계를 취재하며 담아낸 생생한 지구의 모습을 준비했습니다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해수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조류가 바뀌고, 바닷속 생태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현재 우리가 즐기는 명태는 모두가 수입산이다.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채택했고, 1997년에는 그 협약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했다. 교토의정서는 ... ...
- [인포그래픽] 탄소 저감 기술 무엇이 있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정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우리가 지금처럼 화석연료를 펑펑 쓰며 탄소를 배출하면 2030년경에 지구 대기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시대 이전 대비 1.5℃ 오를 예정이다. 이에 전 인류는 지구의 탄소 농도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탄소 저감, 흡수 그리고 기후적응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치료한 후 ‘53’이 적힌 인식표를 부착해 야생으로 돌려보냈던 독수리는 2016년 우리나라에서 다시 관찰됐다. 다행히 야생에서 무리와 함께 잘 지내고 있는 모습이었다. 올해 치료에 성공한 독수리들이 내년, 내후년, 어쩌면 그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발견될 땐 부디 이처럼 야생에서 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쳇. 우리한테는 항상 꼴찌만 주더라. 임무가 끝날 때마다 못 참고 그만둬 버리지.”“우리에게 온 신입이 1년 이상 버틸 확률은 1000년에 한 번 잠에서 깨는 야리야리 행성의 심해고래가 숨을 쉬러 바다 위로 올라왔는데 하필 그 위를 날아가던 비행기에 탄 사람이 싼 똥이 떨어져서 고래의 ... ...
- [특집] 추천 AI에 벡터가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각 정보가 같은 방향에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죠. 단어를 예로 들면 컴퓨터는 나와 너, 우리라는 단어만으로 정보가 유사한지 아닌지 알 수 없지만, 거리와 각도 계산을 통해 세 단어가 밀접하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죠.최 교수는 추천 AI도 이런 벡터 개념을 바탕으로 작동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
- [기획] 코로나19 비켜! mRNA 백신 납신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과정이 훨씬 간단하다”고 말했죠. 그럼 왜 그동안 mRNA 백신을 개발하지 못했을까요? 우리 몸속에는 RNA를 분해하는 효소가 많습니다. 그래서 RNA의 한 종류인 mRNA 백신도 분해될 위험이 있죠.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mRNA 백신을 보호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