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999년 빛을 느리게 한 하버드대 연구팀이 BEC에서, 피지컬리뷰레터에는 하버드-스미소니언
천문
센터 연구팀이 70-90℃에서 성공했다고 소개했다. 느림보 빛 연구와 마찬가지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BEC와 실온에서 빛을 정지시키는 연구가 발표된 것이다.그렇다면 어떻게 빛을 정지시킬 수 ... ...
6개 광학 망원경 묶어 대형반사경 효과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분해능은 망원경의 개별적인 성능이 아니라, 망원경 사이의 최대 간격으로 결정된다.
천문
학자들의 최대 목표는 6대의 망원경으로 최대 4백30m까지의 간격을 벌려 분해능을 높여 먼 거리의 별 주위를 도는 지구형 행성을 포착하는 것이다 ... ...
쌍둥이 퀘이사는 충돌중인 은하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0여년 전
천문
학자들이 가시광선으로 한쌍의 쌍둥이 퀘이사 Q2345+007A와 B를 발견했을 때, 이들이 하나의 퀘이사가 둘로 보이는 허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3월 13일 미항공우주국이 찬드라 X선망원경의 관측결과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 쌍둥이 퀘이사가 허상이 아니고 사실 서로 충돌중인 다른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올해로 10돌을 맞은 이번 천체사진공모전에서는 김창기씨의‘북아메리카성운’과정한섭씨의‘목성의 자전’이 끝까지 경합을 벌인 끝에 김창기씨가 대상을, 정한섭씨 ... 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당선작에 대한 시상식은 4월중에 대전
천문
연구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화성이었다. 19세기의
천문
학자들은 망원경을 통해 화성의 운하(19세기 이탈리아의
천문
학자 G.스키아파렐리가 화성의 어두운 줄무늬를 수로(Canali)라고 이름 붙인 것이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운하(Canal)로 잘못 알려졌다)를 발견했다.고도로 발전된 생명체에 의해 화성의 대운하가 건설됐다는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는 브이엘에이(VLA)라고 불리는 전파망원경 시스템이 출연했다. VLA는 미국 국립 전파
천문
대가 뉴멕시코주 평원에 건설한 전파망원경이다. 폭 36km의 넓은 대지 위에 지름 25m의 안테나 27기를 Y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들 안테나가 복합적으로 작동해 지름 36km의 거대한 안테나와 같은 기능을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과학자들은 다시 우주 곳곳에 숨겨진 진공에너지를 강력한 후보로 떠올린다.이 시점까지
천문
학자들이 관측한 우주의 모습은 아주 평탄하고 가속중이며 거의 텅 비어 있다. 3. 빅뱅 이전 말하는 미완의 이론양자역학과 일반상대론 통합 시도 진공에너지는 밀어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우주를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어머니 자궁 속에 들어앉은 태아처럼 실제로 잉태중인 별이 있을까. 올해 초 유럽남반구
천문
대의 지름 8.2m인 VLT망원경을 이용한 관측결과가 발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평균색을 이용하면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를 찾을 수 있다는 프랑스 파리
천문
대의 장 슈나이더 박사팀의 연구가 1월 29일 인터넷 ‘네이처’ 사이언스 업데이트 코너에 소개됐다. 그 동안 지구에 떠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의 평균색을 알아내려 했지만,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 불가능했다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해 서로 밀어내는 힘인 우주상수를 끌어들였다.1929년이 되자 상황은 바뀌었다. 미국의
천문
학자 허블이 당시 세계 최대의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던 것이다. 우주팽창이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