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새로운 혜성 이케야-장 관측 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밤하늘을 관측하는 즐거움은 반감될 것이다. 천체관측의 진정한 재미는 예고되지 않았던
천문
현상이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며, 이런 현상을 직접 체험할 때 더욱 그 신비에 매료된다. 밤하늘에서 벌어지는 돌발 이벤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새로운 혜성의 출현이다.최근 이케야-장이라는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올해로 10돌을 맞은 이번 천체사진공모전에서는 김창기씨의‘북아메리카성운’과정한섭씨의‘목성의 자전’이 끝까지 경합을 벌인 끝에 김창기씨가 대상을, 정한섭씨 ... 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당선작에 대한 시상식은 4월중에 대전
천문
연구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화성이었다. 19세기의
천문
학자들은 망원경을 통해 화성의 운하(19세기 이탈리아의
천문
학자 G.스키아파렐리가 화성의 어두운 줄무늬를 수로(Canali)라고 이름 붙인 것이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운하(Canal)로 잘못 알려졌다)를 발견했다.고도로 발전된 생명체에 의해 화성의 대운하가 건설됐다는 ... ...
6개 광학 망원경 묶어 대형반사경 효과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분해능은 망원경의 개별적인 성능이 아니라, 망원경 사이의 최대 간격으로 결정된다.
천문
학자들의 최대 목표는 6대의 망원경으로 최대 4백30m까지의 간격을 벌려 분해능을 높여 먼 거리의 별 주위를 도는 지구형 행성을 포착하는 것이다 ... ...
쌍둥이 퀘이사는 충돌중인 은하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0여년 전
천문
학자들이 가시광선으로 한쌍의 쌍둥이 퀘이사 Q2345+007A와 B를 발견했을 때, 이들이 하나의 퀘이사가 둘로 보이는 허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3월 13일 미항공우주국이 찬드라 X선망원경의 관측결과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 쌍둥이 퀘이사가 허상이 아니고 사실 서로 충돌중인 다른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는 브이엘에이(VLA)라고 불리는 전파망원경 시스템이 출연했다. VLA는 미국 국립 전파
천문
대가 뉴멕시코주 평원에 건설한 전파망원경이다. 폭 36km의 넓은 대지 위에 지름 25m의 안테나 27기를 Y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들 안테나가 복합적으로 작동해 지름 36km의 거대한 안테나와 같은 기능을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평균색을 이용하면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를 찾을 수 있다는 프랑스 파리
천문
대의 장 슈나이더 박사팀의 연구가 1월 29일 인터넷 ‘네이처’ 사이언스 업데이트 코너에 소개됐다. 그 동안 지구에 떠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의 평균색을 알아내려 했지만,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 불가능했다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어머니 자궁 속에 들어앉은 태아처럼 실제로 잉태중인 별이 있을까. 올해 초 유럽남반구
천문
대의 지름 8.2m인 VLT망원경을 이용한 관측결과가 발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해 서로 밀어내는 힘인 우주상수를 끌어들였다.1929년이 되자 상황은 바뀌었다. 미국의
천문
학자 허블이 당시 세계 최대의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던 것이다. 우주팽창이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요리한다? 최근엔 진공에너지라는 새로운 재료가 각광받고 있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천문
학전공의 박창범 교수(cbp@astro.snu.ac.kr)는 이론적인 우주모형을 컴퓨터로 모의실험하는 연구를 주로 한다. 분석된 우주관측자료에 맞는 우주모형을 찾기 위해서다. 박교수는 1980년대 컴퓨터 모의실험을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