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자자리 별똥별 쇼 올해가 마지막과학동아 l2002년 11호
- 경우 1998년과 1999년 모혜성인 템펠-터틀혜성 궤도와 지구궤도 사이의 거리가 0.008AU(천문단위, 1AU=1억5천만km)로 1966년에 비해 약 3배나 멀리 떨어져 있었다. 모혜성이 지나간 다음 지구가 지나간 시간의 차이는 1998년에 2백57일, 1999년에 6백22일 가량이었다.과거의 경험과 비교했을 때 1998년에는 시간당 ..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중심으로 한 국제천문학자팀이 10년 동안 고생 끝에 거둔 성과다.국제천문학자팀은 10년간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S2라는 별을 관측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광학망원경이자 대기의 효과를 없애는 적응광학이 적용된 망원경인 VLT의 활약이 가장 컸다. 관측자료를 통해 S2별이 15.2년마다 은하중심을 ...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수백만개의 소행성이 태양계 내에 있으며, 이 가운데 75%가 태양에서 2.1-3.3AU(천문단위, 1AU=1억5천만km)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초기에는 소행성에 그리스·로마신화의 여신이름을 붙였지만, 수가 많아 여신의 이름은 얼마가지 않아 바닥이 났다. 그래서 지금은 발견자의 ... ...
- 2002 물리학상 - 중성미자 검출, X선 천문 관측의 창 개척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지난 10월 8일 노벨상수상위원회는 중성미자 검출방법을 개척한 미국인 레이몬드 데이비스 박사와 일본인 고시바 마사토시 박사, 그리고 우주 X선 망원경을 개발한 미국인 리칼도 자코니 박사를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이번 노벨 물리학상은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창을 개발한 ...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과학동아 l2002년 10호
- 프로테스탄트 목사가 되었으나, 천문학에 흥미를 가져 티코 브라헤가 있던 우라니보르크 천문대를 방문한 적도 있고, J 케플러와도 교신하며 그 자신의 화성 관측 자료를 제공하기도 했다96년 8월 3일 고래자리에서 신기한 별을 발견하고 그 명도(明度)를 1610년까지 끈질기게 추적한 끝에, 약 11개윌의 ... ...
- 왜 통계물리학자가 단백질 연구에 매달릴까과학동아 l2002년 10호
-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 단백질이 수학적으로 가질 수 있는 구조의 수는 ${10}^{100}$으로 천문학적인 숫자다. 이 중에서 자유 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를 과연 찾을 수 있을까.만약 한가지 구조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1펨토초(${10}^{-15}$초)일정도로매우짧다면, 이모든 가능한 구조 중에서 해를 찾는데 ... ...
- 지구대기 끝을 향해과학동아 l2002년 10호
- 천문대에서 달에 레이저 광선을 보내고 그 반사파를 포착하여 측정한다미국의 맥도널드 천문대에서는 1968년부터 270cm 반사망원경을 레이저로 활용하여 거리 측정 관측을 하고 있다달 등의 전체가 수평선(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천공(天空)에 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보통 전자는 후자의 3배 ... ...
- 세계사를 바꾼 날씨과학동아 l2002년 10호
-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대기과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지질학, 해양학, 천문학 등 다양한 지식이 결합돼야 한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에 영향을 받듯이, 대기 역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기 때문이다. 결국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제대로 ...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과학동아 l2002년 10호
- 조금씩 자리를 바꾼 다른 위치에 있었다.허셸이 천왕성을 발견했을 때 당시의 유명한 천문학자였던 샤를 레모니에는 자신의 기록을 뒤져봤다. 그랬더니 과거에 이미 세번이나 천왕성을 관측했던 사실이 발견됐다. 안타깝게도 레모니에는 천왕성을 일반 별로 착각했던 것이다. 사실 과거에도 그는 1 ... ...
- 은하수 사라진 구상성단의 밤하늘과학동아 l2002년 10호
- 구상성단에 행성이 존재할까. 아직까지는 비관도, 낙관도 할 필요가 없다. 2000년 10월 천문학자들은 남쪽하늘 큰부리새자리의 구상성단 ‘47투카니’에서 3만5천개의 별을 조사했지만, 행성을 하나도 발견하지 못했다. 반면 2001년 6월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구상성단 M2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