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가장 작은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는 연구가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남산타워를 배경으로 박진감 넘치는 보름달의 월출 장면을 담았다.작은 바람에도 망원경이 흔들려 공원 근처의 계단 안에 들어가서 촬영했다.인간이 만든 거대 구조물인 남산타워와 보름달이 하나의 구도 안에 대비되면서 잠시나마 초현실적인 느낌에 빠져볼 수 있다.▲위 (지구와 우주 / 그림 부문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크게 발달해 뒷발만으로 걸을 수 있었으며, 수십 cm 정도로 작은 잡식성 생물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하지만 지난 4월 12일 ‘네이처’에는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팀이 텔레오크레이터라디누스라는 새로운 원시 공룡은 네 발로 걸었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는 등, 이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드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꼬부기’라도 잔뜩 나타난 걸까요?사실 이 무리의 정체는 거대한 바위들이에요. 작은 것은 지름이 0.5~1m, 큰 것은 지름이 2.7m가 넘어서 사람이 바위틈에 쏙 들어갈 수 있을 정도지요. 코에코헤 해변이 위치한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모에라키 바위(Moeraki Boulders)’라 불려요.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살펴보세요. 공룡 알 표면에는 아주 미세한 구멍들이 많거든요. 모든 알의 껍질에는 아주 작은 숨구멍이 있어서 알 속의 새끼는 그 구멍을 통해 호흡을 해요. 특히 공룡 알은 다른 알보다 구멍이 15배 이상 많아요. 공룡이 살던 시대의 대기에는 지금보다 이산화탄소 양이 5배 더 많았거든요. 그래서 알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동물을 발견했어요. 이 동물은 크기가 0.6~8mm 정도인 새우의 ●유생이에요. 이렇게 크기가 작은 갑각류는 해초 위에 번식하는 조류를 먹고 살아요. 건강에 나쁜 조류들을 먹어 치워 해초의 건강을 지켜 주지요.● 유생 : 동물이 태어나서 완전한 성체가 되기 전 단계.연구팀의 관찰 결과, 해초의 청소부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수집가 강금만입니다.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평범한 회사원으로 지내다가 얼마 전부터 작은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십여 년 전 기계식 퍼즐(도구를 이용하는 퍼즐)의 매력에 빠져 하나둘 모은 게 3000점이나 되네요.Q 퍼즐박물관을 방불케 하네요. 퍼즐에 빠진 계기가 있나요?2002년 싱가포르로 ... ...
- [포토 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태양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었다. 신라이트를 구성하는 149개의 램프가 뿜어내는 빛은 모두 가로세로 각각 20cm의 작은 공간에 모인다. 최대 출력은 320kW로 지구 표면에 닿는 태양광의 1만 배에 해당하는 세기다. 온도는 최대 3000°C까지 올라간다. 이런 극한의 온도가 필요한 이유는 미래의 청정에너지로 주목 받는 수소에너지를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