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타성도 진화할 수 있기를 내심 바랐기 때문이다. 소망과 달리, 프라이스는 “몇 가지 작은 흠결을 제외하면” 해밀턴이 옳았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프라이스는 해밀턴에게 그 흠결을 알려줬다. 내 적합도(=평생 낳는 자식 수)의 하락을 감수하면서 상대방의 적합도를 낮추는 악의적인 행동에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뒤, 부품 위에 그물을 그리듯 부품의 모든 영역을 잘게 쪼갠다. 부품 전체에 힘을 줬을 때 작은 영역 하나하나에 걸리는 힘을 비교해 힘이 적게 걸리 는 부분을 조금씩 없애 무게를 줄인다.이렇게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은 변하지 않으면서 모양이 바뀌거나 구멍이 생기는 최적 설계를 위상 최적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및 교통 감시, 기상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구삼옥 박사님은 “좀 더 작은 크기로 만들어 원양어선 등에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군용 드론처럼 일반 드론도 바다 위에 떠서 이동하는 배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 정확히 착륙할 수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어요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커져요. 그럼 무게에 비해 로봇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10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작은 벼룩이 자신의 키의 60배 이상 높이를 뛰어오르지만 사람은 그럴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랍니다. MIT 연구팀은 폴리우레탄 고무와 왁스를 섞은 신소재로 격자 모양의 구조물을 만들었다.이 소재로 만든 ...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먹을 수 있답니다.●치설 : 연체동물의 구강에서 볼 수 있는 톱 모양의 혀. 키틴질의 작은 이빨이 많이 붙어 있다. 물 들어올 때까진 얼음! 중부 조간대중부 조간대는 규칙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곳이에요. 이곳의 가장 대표 생물은 따개비랍니다. 수많은 따개비 종류 중에서도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교수팀은 생선 알의 부화율, 성장률, 사망 비율, 기존 어획량, 수온의 변화, 플랑크톤과 작은 어류의 수 등을 고려해 어획량에 따라 생선 수가 어떻게 바뀌는지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방정식은 어획량을 지금보다 n% 더 줄였을 때 혹은 n% 더 늘렸을 때 1~2년 뒤 생선 수가 얼마나 되는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비밀번호가 뭔지는 뻔했다.0124를 입력하자 보관함은 소리 없이 열렸다. 그 안에는 작은 메모리스틱 하나와 편지로 보이는 종이 한 장이 들어 있었다. 편지는 여지껏 받았던 것 중에서 가장 길었다. "하림아,십오 년만에 처음 만났는데 이런 상황에 놓이게 되어서 정말 안타까워.네가 제발 이 편지를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저는 동물원에서 만나기 힘든 ‘아프리카코끼리’예요. 동물원에서 본 건 저보다 귀가 작은 ‘아시아 코끼리’였을 거예요.‘아프리카코끼리’는 다시 아프리카코끼리와 둥근귀코끼리 두 종으로 나뉘어요. 본래는 과학자들도 우리가 모두 같은 종인 줄 알았죠. 하지만 2010년, 과학자들이 우리의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크고 무거우면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사이버그를 만들 수 없어요. 이 때문에 가볍고 작은 배터리를 만들거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요.광주과학기술원 이종호 교수팀이 개발한 1μm(백만 분의 1미터)의 아주 얇은 태양전지(위 사진)가 대표적인 예지요. 이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파란색으로 이뤄져 있었는데, 빨간색일수록 하중이 큰 부위고, 파란색일수록 하중이 작은 부위다. 대부분의 사람이 몸통과 엉덩이에 하중이 집중돼 있지만,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등고선의 형태도 조금씩 다르다. 예컨대 엉덩이의 하중이 큰 사람은 전체 몸무게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무게가 집중돼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