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해밀턴의 계산이 틀렸기를 내심 바랐다. 실망스럽게도, 프라이스는 “몇 가지 작은 흠결을 제외하고” 해밀턴이 옳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피붙이에 대한 이타성이 진화가 만들 수 있는 최선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그러나, 해밀턴이 틀렸음을 입증하고자 애쓰는 와중에 프라이스는 예상치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비교할 때 집합의 ‘기수’를 쓰는데, 자연수 집합의 기수보다 크고 실수의 기수보다 작은 기수를 갖는 집합이 있다는 수학자도 있고, 없다는 수학자도 있다. 만약 타당한 추론을 통해 그런 집합을 찾을 수 있거나 그런 집합은 없다는 것이 증명되면 연속체 가설은 콰인의 유형 중 참된 역설이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현미경은 물체를 무려 900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어요. 머리카락은 물론 더 작은 세포의 구조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답니다. 실험재료를 올리는 슬라이드글라스와 재료를 덮는 커버글라스, 집게 등 다양한 실험도구는 물론 램프까지 들어 있어서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관찰이 가능하지요.주변의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구조를 관찰했다. 그 결과, 어두운 얼룩이 실제로는 인간의 머리카락 굵기보다 50배 작은 미세한 알갱이 수십만 개로 구성돼 있음을 관찰했다. 이 알갱이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멜라노좀이라는 세포 소기관이라는 사실도 밝혔다. 멜라노좀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고 저장하는 기관이다. 멜라닌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되면 운동에 대한 활성화에너지가 작아져 외부전기장에 의해 쉽게 이동할 수 있다”며 “작은 전기장만 걸어줘도 금방 통로를 만들기 때문에 적은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장 교수는 여전히 좀 더 적은 전력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새로운 물질을 찾고 있다. 그는 “재료공학자의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난 응집물리와 입자물리응집물질 안에 우주가 있다는 말은, 우주를 설명하는 수학과 작은 물질 속을 설명하는 수학이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이전에도 두 분야의 교류가 있었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입자물리학자 피터 힉스가 저온초전도체를 설명하는 BCS이론에서 힉스 매커니즘의 아이디어를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앞면이 나오면 큰 공주와 작은 공주 둘 중 한 명을 골라 깨우고, 뒷면이 나오면 큰 공주와 작은 공주 모두를 깨워 ‘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왔을 확률’을 묻는 실험이었습니다.“두 공주의 실험은 마구잡이 실험과 무척 비슷합니다. 그런데 두 공주의 실험에서 공주는 일요일에 던진 동전이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한계로 보고 있다. 실리콘 소재를 활용한 전자소자 기술 발전은 한계에 달했고, 그보다 작은 세계인 양자메모리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소재가 필요한 상황이다.하인리히 교수는 “홀뮴 원자는 1nm 간격으로 배열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그만큼 원자를 촘촘하게 배열할 수 있어 디지털 정보 저장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3~4주로 짧아 식물연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임 교수는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작은 시스템을 만들어 테스트하는 중이며, 국내 대표 작물인 상추와 미니토마토로 생육 조절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애기장대와 미니토마토 등을 대상으로 식물 생육 조절의 토대를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안 되는 상태가 만들어진다(67쪽 그림 참조). 오직 전자로만 구성된 자연계에서 전자보다 작은 전하를 만들어낼 때 이것을 ‘발현된(emergent) 전하’라고 부른다. 러플린 덕분에 이제 분수 전하를 가진 쿼크 같은 기본 입자조차도 이런 발현성의 결과라고 볼 수 있게 됐다. 기본 입자가 꼭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