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라돈을 뿜는지 조사했어요. 49개 매트리스 제조업체 중 대진침대와 같은 물질을 쓴 곳은 없었지만, 6개는 약간의 방사선을 내뿜는 토르말린과 참숯, 맥반석 등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원안위는 이들 침대의 방사선 량을 정밀하게 조사할 계획이에요. 침대에 광물을 넣은 이유문제가 된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단체로 사육할 수 있는 사육동 10개를 갖췄다. 3000마리 영장류를 단체로 사육할 수 있는 곳은 국내에서 영장류자원지원센터가 유일하다. 1~2동은 원숭이들의 행동인지연구, 3~6동은 뇌질환연구, 7~10동은 영장류 번식연구 장소로 사용할 계획이다. 단체 사육은 영장류의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베스트를 착용하면 2~7kg의 무게를 들어 올리면서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준다. 미국 내 2곳의 공장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진행한 결과, 엑소 베스트는 팔과 허리에 가해지는 힘을 40% 줄이고 작업자의 부상 발생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 외에 BMW, 아우디 등 독일의 자동차기업도 공장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집념의 야구팬들이 이 어려운 일을 먼저 해냈습니다. 2008년 조시 로빈슨은 자동차로만 30곳의 야구장을 여행하는 일정을 짜서 26일 만에 마쳤습니다. 척 부스는 2012년 23일 만에 모든 경기장을 돌았지요. 정말 대단하죠? 미국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땅이 어마어마하게 컸어요. 서쪽 끝에서 동쪽 끝으로 ... ...
- [수학공작실] 스피로그래프로 만든 무늬 드림캐쳐에 딱 걸렸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대륙의 인디언들은 어린 아이를 보호하고 좋은 꿈을 꾸게 해 달라는 의미로 잠을 자는 곳에 ‘드림캐쳐’를 걸어 뒀다고 합니다. 드림캐쳐는 원 안에 다양한 패턴이 들어가 있는 형태입니다. 스피로그래프로 원의 자취를 그린 무늬로 새로운 디자인의 드림캐쳐를 만들어 봅시다. 빈지현 선생님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석유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실제로 신재생에너지를 다루는 곳은 화학생물공학부다. 그는 “자기소개서와 면접을 준비하면서 찾아보니 화학생물공학부는 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등 연구 분야가 매우 다양했다”며 “진로 선택의 폭이 넓다는 장점에 끌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런 새들과 만나는 시간이에요.” 조류 탐사는 연중 내내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 할 수 있어요.탐사할 장소를 정하고, 그 자리에서 5분 동안 머물며 눈에 보이는 조류의 이름과 마릿수를 세서 기록하면 되지요. 대원들이 올린 데이터는 우리나라에 계절별로 어떤 새가 어떤 환경에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거가 될 때까지는 두꺼운 비닐로 침대를 감싸 환기가 잘 되고 사람이 잘 다니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of Water Particles 물 입자의 우주 절벽 아래로 폭포가 떨어진다. 관람객이 발을 디디는 곳마다 꽃이 핀다. 물줄기에 손을 내밀거나 바위 아래에 걸터앉아보자. 관람객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센서가 이를 감지해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는 곧 물 입자가 떨어지는 속력과 방향을 다시 계산해 새로운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발사 직후 6주간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외계행성 5개를 찾아 각각 ‘케플러-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