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얼굴 구분하는 AI ‘프라임넷’ 가장 먼저 동물의 얼굴 인식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곳은 야생 동물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야생에서 동물 종을 파악하기 위해 일단 동물을 붙잡아야 했습니다. 그래야 개체 식별용 마이크로칩을 심거나, 귀를 뚫어 고리를 끼우는 등 표시를 할 수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완공한 ‘Y2L A5’ 실험시설이다. A6 실험시설은 총면적 100m2로 4개의 방으로 구성됐다. 이곳에서는 요오드화세슘 결정 검출기를 이용해 한국형 암흑물질 탐색 실험(KIMS)이 진행되고 있다. 검출기가 설치된 붉은 조명의 방에서 이현수 IBS 지하실험연구단 부연구단장은 “여기서 박사학위 논문을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발전 방식보다 설치 기간이 짧다는 점, 산간·해안·방조제 등 사람이 많이 살지 않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바람을 이용하는 만큼 바람이 부는 조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이 달라지며, 별도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 소음이나 조류와의 충돌에 의한 피해 등도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4번 갱도를, 4시 2분엔 3번 갱도를 폭파하는 등 핵실험장의 세 개 갱도를 비롯해 생활건물 5곳과 막사 2동을 폭파시켰답니다. 이날 북한은 미국, 영국, 중국, 러시아, 한국 5개국 기자단 8명을 폐쇄 현장에 초청해 폭파 현장을 직접 취재하도록 했지요. 꾸준히 핵무기를 개발하던 북한이 풍계리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발사 직후 6주간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외계행성 5개를 찾아 각각 ‘케플러-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저온 원자 실험실’ 부메랑 성운보다 더 추운 곳이 있을까. 놀랍게도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달보다도 가까이에 있다. 바로 올해 5월 21일 안타레스 로켓에 실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NASA가 만든 ‘저온 원자 실험실(CALCold Atom Laboratory)’이다. 아이스박스 크기만 한 CAL은 세상에서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무부장이 말했다. “수업 중이에요!” 폴수학학교는 충청북도 괴산군의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대안학교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약 70명의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국어와 영어, 과학과 역사 등 모든 과목을 배우지만 수학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2014년 개교 때부터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영재교육원은 서울 관악구에 있는 본관과 남산 분관, 동부 본관, 남부 분관 등 네 곳으로 나눠 운영한다. 본관의 경우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수학반과 과학반을 20명씩 14개 학급으로 운영한다. 수학반과 과학반의 수는 7개씩으로 똑같다. 비록 중점적으로 배우는 내용은 다르지만, 수학과 과학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런 새들과 만나는 시간이에요.” 조류 탐사는 연중 내내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든 할 수 있어요.탐사할 장소를 정하고, 그 자리에서 5분 동안 머물며 눈에 보이는 조류의 이름과 마릿수를 세서 기록하면 되지요. 대원들이 올린 데이터는 우리나라에 계절별로 어떤 새가 어떤 환경에 ... ...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에 이 로봇을 주입하면, 헤엄치면서 안구 안쪽으로 파고들어 망막 등 안구의 깊숙한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조종할 수도 있어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그동안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 안과질환을 치료할 때는 안약을 이용하거나 주사를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