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언제부터 이렇게 곤충의 매력에 빠졌나요?배 초등학교 3학년 때 캠프를 갔는데, 그곳에서 캠프파이어를 했어요. 그때 큰 나방과 사슴벌레, 하늘소가 불을 지나서 차례차례 제 쪽으로 날아왔죠. 그게 굉장히 멋있어 보였어요. 그래서 사슴벌레 전 종을 직접 보겠다는 목표를 세웠죠. 결국 고등학교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얼른 뛰어서 원반을 잡아야 해!”둘은 남은 체력을 모두 짜내 원반이 놓인 곳으로 전력 질주했어요. 마침내 수호가 손을 뻗어 원반을 잡으려는 순간, 원반은 감쪽같이 사라져 버렸어요.“하…. 두 번째 아이템을 놓쳐버렸어…. 어떻게 얻은 기회인데….”풀이 잔뜩 죽어서 자리에 주저앉은 수호를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물질을 무엇이라고 배웠는지에 달린 걸까요? 아니면 아예 머릿속도, 물질도 아닌 다른 곳에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세계가 물질이나 에너지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기존의 생각이 잘못된 건 아닐까요 ... ...
- [출동! 기자단] 이끼도롱뇽 탐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찾아 나섰어요. 미리 준비한 목장갑을 손에 끼고 이끼도롱뇽이 좋아하는 환경인 경사진 곳에서 돌과 낙엽을 들추어 봤지요. 이끼도롱뇽을 비롯한 미주도롱뇽은 다른 도롱뇽과 달리 폐가 없이 피부로만 호흡을 해요. 그래서 우리가 맨손으로 만지면 사람의 체온에 피부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 ...
- 블루카본이 도대체 뭐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지구 온난화를 막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그 이유는 해안 생태계가 그 어떤 곳보다 탄소를 더 빨리,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해안 생태계는 바다 전체면적의 2%에 불과하지만, 바다로 흡수되는 탄소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뛰어난 탄소 흡수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 ...
- 노후 다리, 최첨단 기술로 관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통로를 위태롭게 걷는 사람을 본 적 있나요? 다리의 이곳저곳을 살피며 갈라지거나 녹슨 곳은 없는지 검사하는 작업자예요. 이렇게 사람이 직접 검사하는 방법은 위험할 뿐 아니라, 정확하지 않고 다리 내부를 확인하기 힘들어 다리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지요.그래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연구했어요. 그러다 환경DNA로 깊은 바다나 지하수와 같은 곳에 사는 생물도 찾아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됐지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네스호는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좋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딱 맞았답니다. Q네스호에 정말 괴물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저는 괴물이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직접 채집한답니다.심해 물고기의 유전자는 모두 비슷하다?! - 김경무저는 동해 깊은 곳에 사는 어류의 유전자를 연구해요. 빙하기 이전부터 살던 종이 빙하기를 겪으며 일부만 심해에 살아남아 유전자의 다양성이 낮은 편이랍니다. 또 연구실에서는 우리나라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유전자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건전지도 없는데 걷는다고? 중력의 비밀, 워킹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위치를 조금씩 움직이다 보면 어느 순간 균형을 잡고 떨어지지 않죠. 이렇게 물체의 어떤 곳을 매달거나 받쳤을 때 균형을 이루는 점을 ‘무게 중심’이라고 해요. 무게 중심에서는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아서, 공책이 기울어지지 않고 손가락 위에 있을 수 있죠.모든 물체는 무게 중심을 ... ...
- [과학뉴스] 최초의 태양 탐사선 파커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유를 밝히는 게 파커의 임무지요. 이를 위해 파커는 태양 표면에서 595만km 떨어진 곳까지 다가갈 예정이에요.파커는 코로나의 열을 어떻게 견딜까요? 비결은 태양을 바라보는 쪽에 설치한 ‘태양열 방패’예요. 너비 2.4m, 두께 11.4cm 정도에 불과한 이 방패는 얇은 탄소판 사이에 스펀지처럼 생긴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