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까지 도달한답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요. 강한 레이저가 우주 탐사기기를 고장 낼 수 있고 우주비행사들이 이 레이저를 보게 된다면 시력이 손상될 수도 있지요. 클라크 연구원은 “아직 가능성을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그래서 이번 연어 탐사에서도 죽거나, 곧 죽을 듯 힘이 빠진 채로 유영하는 연어들이 곳곳에서 발견됐어요. 거친 파도와 강물을 거스르며 자갈, 모래 등에 찢겨 온 몸에 난 상처가 여기 오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지 보여 주었지요. 하천 옆에 죽어있는 연어를 본 탐사대원들은 연어를 묻어주며 잠깐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비행기가 등장한 이후, 전세계 어느 곳이든 빠르게 갈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비행기는 한 번 운항할 때 옮길 수 있는 화물의 양이 적어요. 그래서 전세계 화물 운반의 90% 이상이 선박을 통해 이뤄진답니다. 이처럼 배가 많이 쓰이다 보니 배가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딸기 농사를 짓는 부모님과 함께 경상남도 진주에서 나고 자란 하병욱 씨는 올해 28세인 농부예요. 4년 전 딸기 농사를 시작했다가 올해 3월부터 강 ... 활력을 불어 넣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사는 사람도 신선하고 건강한 농산물을 가까운 곳에서 값싸게 먹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물을! 사막농업 기후 변화로 가뭄이 잦아지고 각종 개발로 삼림이 파괴되면서 지구 곳곳에서 우리나라 크기의 땅이 매년 사막이 되고 있어요. 노르웨이 과학자 크리스티안 올레센은 이런 사막화의 대안으로 사막 농업을 연구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 올레센은 아랍에미리트의 한 사막 농장에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의 마디가 소 무릎을 닮은 쇠무릎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풀로 가득한 시골길이나 등산로를 걷다가 벼의 껍질처럼 생긴 것이 바지에 가득 달라붙은 경험이 있나요? 그건 어쩌면 오늘 소개할 ‘쇠무릎 ... 쇠무릎의 뿌리를 수확하기 시작하는 시기랍니다. 쇠무릎은 습한 곳을 좋아하니, 그늘진 곳에 가면 쇠무릎을 찾아 줄기의 마디를 확인해 보세요 ... ...
- Part 2. 스마트팜, 미래엔 농사도 두뇌 노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있어요. 최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양승환 수석연구원이 개발해 화성의 포도 농가 50곳에 적용한 원격 제어 기술이 대표적이예요. 이 기술은 온도와 습도 등 6가지 정보를 센서로 측정하며 폭염과 한파, 장마 등으로 농작물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으면 알람을 보내요. 농부는 집에서 ...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이용해 매우 먼 거리에 있는 다른 혹등고래와도 소통할 수 있어. 저주파는 수천 km 떨어진 곳까지 전달되거든. 우리는 저주파를 이용해 함께 이동하고 먹을거리도 찾고 서로 도움을 요청한단다. 일리 : 무슨 노래를 부르고 있었던 거야? 혹등고래 : 사랑 고백을 하고 있었어. 보통 수컷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오렌지 전지로 친환경 시계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고구마, 가지 등의 채소와 두부도 사용할 수 있지요. 일단 받침대 양쪽 끝 공간 두 곳에 준비한 오렌지를 놓고, 가운데 구멍에 시계를 꽂아요. 이후 전선이 빨간색인 구리 전극(노란색)을 한쪽 오렌지에 꽂고, 전선 끝을 시계 모듈 뒤쪽의 ‘+’ 부분에 연결해요. 또 다른 오렌지에는 검은색 전선의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고정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사실 유전자는 염색체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일 수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지요. 미국의 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은 움직이는 유전자를 최초로 발견했어요. 1945년, 그는 한 자루의 옥수수에서 서로 다른 색깔의 옥수수 알갱이가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