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암이 자리해 수술이 어려운 경우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선 다른 분야와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정 교수는 강조했다. 우리 뇌의 혈관은 혈관 주변을 감싸는 막인 ‘뇌혈관 장벽(BBB・ Blood Brain Barrier)’으로 둘러싸여 있어, 치료제를 찾더라도 이것이 뇌까지 잘 도달하게 하는 것은 ...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유공자 지원사업을 통해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자들이 자긍심을 갖고 연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답니다.-이호왕 교수 (1928~2022) 고려대학교 명예교수1976년, 당시 유행성 출열혈을 일으키는 ‘한탄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병원체를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풀어 말해야 그제야 단어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국내에 성차의학이란 분야가 직접적으로 소개된 것은 고작 10년 전이다. 론다 쉬빙어 스탠퍼드대 과학사학과 교수는 2005년, ‘젠더 혁신(Gendered innovations)’이란 개념을 최초로 주창했다. 과학이 편향적임을 인정하고 성과 젠더를 하나의 분석 ... ...
-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줄여주자는 의무감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물리나 수학과 같은 분야는 될 수 있으면 그 분야 과학자가 직접 번역해야 한다는 생각도 더해졌다. 박 박사의 ‘버킷 리스트’에 들어있었던 프린키피아 번역의 경우 특히나 그렇다. 뉴턴이 자신의 이론 중에서도 정수만 정리해 적어, 읽는 이들이 ...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실험 기법으로 연구 대상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게 되면 새로운 연구 분야가 열리고, 이 분야에서 다른 실험 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그로 인해 다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과학이 발전하는 동력 중 하나입니다. 박건희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세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며 “학생들이 졸업 이후 금융이나 다른 IT 분야로 진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방학 동안에는 서울 캠퍼스에 가서 경영학 수업과 같은, 평소 듣지 않는 수업을 듣기를 적극 권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서는 복수 전공이나 부전공을 통해 ... ...
- [인생] 행복한 삶이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뭘 하고 있는지 온전히 이해하기 쉽지 않잖아요. 물론 같은 수학자더라도 연구 분야가 다르면 상대방에게 설명해줘도 알기 어려워요. 그래도 수학자가 어떤 삶을 사는지, 대학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를 잘 알고 있어서 편해요. 하성민 /한과영 1학년 : 행복한 인생이란 어떤 건가요? ‘행복한 ...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허준이 펠로우가 3명이지만, 앞으로는 10명까지 만들어야지요. 이들이 본인의 연구 분야를 잘 이끌어 10년 후엔 한국 수학계의 대들보가 되길 바랍니다. 꼭 필즈상이 아니더라도 누가 봐도 수학계의 세계적인 권위자가 됐으면 해요. 20년 후엔 필즈상 수상자가 나오면 좋겠습니다. 용어 설명* ... ...
- [포토뉴스] 집안일은 내가 최고! 한국팀 ‘로보컵 2023’ 2개 부문 우승과학동아 l2023년 08호
- 10일까지 프랑스 보르도에서 45개국 25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치러졌다. 다양한 분야의 로봇 축구 리그는 물론, 시뮬레이션, 재난 구조, 자동화 등 로봇을 대상으로 하는 거의 모든 대회가 모여 있는 로봇계의 ‘올림픽’이라 할 만하다. 타이디보이 팀은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유도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런 핵융합 연구 중에서도 내가 담당한 분야는 1억℃에 이르는 초고온 플라즈마의 물리적 성질을 슈퍼컴퓨터로 모사, 예측하는 것이었다. 핵융합 연구의 문을 열다 박사학위를 받고 핵융합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한국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