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리교사에게 과학고 수업에 대해 물었다.Q. 경기북과학고는 경기도의 유일한 과학 분야 특목고로,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큽니다. 교육과정에 특징이 있다면 무엇일까요?먼저 모든 1학년이 참여하는 R&E(Research&Education) 프로그램인 융합과학탐구를 말씀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활동은 ... ...
-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모인 이유는 바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 때문입니다. 두 기관 모두 순수 학문 분야가 뛰어나기로 유명하지만, 그중에서도 수학은 단연 으뜸입니다. 프린스턴대 수학과는 전 세계 대학교 수학과 중 손꼽히며, 고등연구소는 당대 최고의 수학자가 속한 기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서 열거한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같은 저명한 수학자를 영입했습니다. 덕분에 1911년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로부터 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를 인수할 정도로 명성을 얻지요. 또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금을 모금했고, 1925년에는 미국 내 대학교 수학과 상위 5위에 들 만큼 뛰어난 연구 성과를 냅니다. 현재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우리의 음악 취향이 쉽사리 들키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 교수는 “신경과학 분야에서 청각은 시각에 비해 연구가 매우 적은 편”이라며 “아직은 풀어야 할 질문이 많다”고 설명했다. 과연 음악신경과학에는 어떤 흥미로운 질문들이 기다리고 있을까. 파트 2에서 살펴보자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가진 건 자연스러운 다음 단계였다고 생각하며, 현재 담당한 지식과 정보관리라는 업무 분야도 제 관심사와 잘 맞는 편입니다. 추후에 인류의 역사를 정보처리와 지식생성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는 학술적인 작업을 하고 싶은 바람도 있습니다. 끝으로 독자 여러분 중 학생이 계시다면 과학을 ... ...
- [특집] 생전 모습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의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꽃가루가 발견된다면 식물학자와 함께 새로운 사실을 알아낼 수도 있죠. 이렇듯 자기 분야에서 최고의 조언자가 될 수 있다면 자신만의 새로운 관점으로 미라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용어 설명●병리학: 질병의 원인이나 진행 과정, 질병으로 인한 몸의 조직이나 기관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안전 가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놀이뿐 아니라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뽐내고 있어. 하지만 사용 시간이 늘면서 메타버스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지.오늘은 나 과학마녀 일리가 정백이와 독자 친구들에게 안전하고 즐거운 메타버스 탑승법을 소개해줄게! 일상이 된 메타버스, 위험할 수 ...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교수가 되려고 지금도 노력 중입니다. 타오 교수가 제 전공 분야뿐 아니라 더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면서 자주 볼 기회는 없어요. 하지만 저는 늘 그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틈날 때마다 그의 블로그를 보며 지금 수학계가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지, 어디로 향해갈 것인지 등을 생각해 볼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고등연구소에서 교수 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그는 고등연구소의 장점으로 ‘나이대나 분야가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을 꼽았어요. “사람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내 생각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이러한 과정이 연구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예전에 비슷한 연구를 하는 두 ... ...
- [일타수맨스] 떠오르는 젊은 일타 강사 ★ 안가람의 성공 비법 ★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학원 강사가 되신 건가요? 여러 이유가 있지만, 학생에게 수학을 가르치면 제가 이 분야에서 1등은 아니더라도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겨서요. 대학 수학을 공부해보니 개인의 역량에 따라 성과가 천차만별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아르바이트로 ‘입시 수학’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