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비전이 없는 분야지만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여러 편의 논문을 쉬지 않고 발표하면서 RNA 분야의 선구자적 지위를 유지한 커리코 부사장의 인내심과, 이를 알아보고 계속 지원한 와이스먼 교수의 현명함, 마지막으로 좋은 아이디어와 비전 제시만으로도 이를 지원했던 미국 바이오 펀드의 공격적인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비교적 가까운 은하만 이런 구분이 가능했다. 별과 성단의 진화를 연구하는 항성진화 분야도 수천만 광년의 우주에 갇혀(?!)있었다. 제임스 웹의 대발견과 함께 머나먼 우주 끝자락도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새 무대로 떠올랐다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리교사에게 과학고 수업에 대해 물었다.Q. 경기북과학고는 경기도의 유일한 과학 분야 특목고로,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큽니다. 교육과정에 특징이 있다면 무엇일까요?먼저 모든 1학년이 참여하는 R&E(Research&Education) 프로그램인 융합과학탐구를 말씀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활동은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저는 이 문제를 좌표평면 위의 도형 문제로 바꿔서 풀었어요. 문제에서 다루는 수학 분야와 전혀 다른 개념으로 푼 거죠. 그 과정에서 개념 사이의 연결성을 깨달으면서 수학이 아름답다고 생각했습니다. Q. 수학 실력을 높이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수학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과 ...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아직 TDA가 실용화가 되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워요. 더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연구 분야로 보면 의학 TDA에 더욱 매진하고 싶고, K-POP 관련 연구도 새롭게 하고 싶어요. 저는 K-POP 전문가는 아니니 관련 아이디어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저와 함께 연구를 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개념을 더욱 엄밀하게 정의하려는 시도로 이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측도론’이라는 분야가 만들어졌죠. 만약 ‘확률이 0이면 불가능하다’라는 명제를 수학자가 의심 없이 수용했다면 측도론은 발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수학자는 아주 당연해 보이는 사실도 끈질기게 의심하는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용해 세상에 없던 치료제를 만드는 일이다. 결국 인류에게 큰 도움을 주는 방법은 의학 분야로 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개발이나 나노입자 세포치료제,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등 다양한 연구가 곧 나올 예정이다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학의 이단아(매버릭maverick)다. 학부생 시절인 1976년 mRNA에 매료된 후로, 주목받지 못한 분야였던 mRNA 연구에 수십 년간 몰두해 왔다. 그러던 1997년, 같은 대학의 드루 와이스먼 교수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나는 mRNA로 뭐든 만들 수 있다”고 말한 것이 두 사람이 개발한 mRNA 백신의 시작이었다. 이어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영어권 연구자들보다 얼마나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하는지 분석했다. 연구팀은 환경 과학 분야의 연구자 908명을 대상으로 논문 읽기, 쓰기, 출판, 연구 보급, 컨퍼런스 참여 등 5가지 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노력의 양을 설문 조사했다.조사 대상은 지금까지 한 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방글라데시,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꼽히고 있다. 나노과학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디스플레이, 배터리, 반도체 등 여러 분야에서 1차 혁신을 일으켰다. 나노의학은 나노과학이 일으킬 2차 혁신으로 거론된다. “나노의학은 단순히 지금 있는 의학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게 목표가 아닙니다.” 천 단장은 나노의학이 미래 세상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