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찾을 수 있습니다. 수많은 학자가 알렉산드리아 대도서관에서 의학, 지리학, 문학 등 각 분야의 지식을 수집해서 목록화하는 작업을 했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을 쓴 의도가 담긴 서문은 남아있진 않지만, 기하학도 당시 지식의 체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어요. 수학자 : 이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발 현장에서 사용하는 언어도 다양하다. 언어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에 따라 적합한 분야가 달라서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는 배포된 이후에도 개발자들의 요구에 맞춰 끊임없이 버전 업데이트를 해 고정적이지 않다. 발전한 기술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를 새로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덜어 무게를 줄인다. 지금보다 더 가벼운 재료를 찾기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과학 분야가 협력과 경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하며 세상을 바꿀 새로운 재료를 탄생시킬 수 있길 바라며 6개월간 이끌어온 ‘초(超)재료’ 연재를 마친다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금속입자연소추진파이로 분야의 전산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적 모델링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를 국내에서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핵물리, 입자물리, 재료,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하고 싶다면 중이온가속기를 어떻게 활용할지 잘 생각해 보길 바랍니다. 저희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연구자들에게도 많이 물어보길 바라요. 여러분의 연구에 우리를 잘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출력 방식인 용융 적층 모델링(FDM・fused deposition modeling) 기법입니다. 푸드 프린팅 분야에서는 퓌레나 반죽 등 점성이 있는 원료를 출력할 때 FDM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반죽류를 출력해 사탕이나 초콜릿, 무스케이크와 같은 과자류나 피자, 파스타 같은 가공식품류을 만들 수 있습니다. FDM 방식이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구성원 중 한 사람으로서 제 목표는 학계 밖 동료 시민들도 주류 천문학이 주목하는 이 분야들에 함께 관심을 갖도록 돕는 것입니다. 연구자들과 대중 및 사회의 시각차를 좁혀서 과학자들의 관심사가 곧 대중과 사회의 관심사가 되도록 노력하는 커뮤니케이터, 그리고 천문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Q.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바야흐로 뇌과학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 신경발생학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데 관심있다. 저서로 '나는 뇌를 만들고 싶다'가 있다. woongsun@korea.ac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에너지과학과 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UNIST에 재직 중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seoksi@unist.ac.kr 용어 설명 여기(excited state) : 원자나 분자에 있는 전자가 바닥 상태에 있다가 외부의 자극을 받아 ... ...
- 영재학교 학생이 챗GPT 쓰는 이유는? 빠르고 문제 해결 힌트 준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창의적인 사고를 해내는 공부법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경우 이공계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이 많고, 타 학교에 비해 정보 과목 수업 시수가 높은 대전과학고등학교(대전과고), 서울과학고등학교, 세과영 같은 영재학교에서 활발히 이용한다. 김도훈 대전과고 1학년 학생은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