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d라이브러리
"
병원균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병의 근원 감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가장 좋은 음식은 물이라고 한다. 물은 각종 병균을 몸밖으로 씻어내고 인체가
병원균
과 싸우는 동안 남은 노폐물을 몸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따듯한 물을 자주 먹을 것을 의사는 권한다.건강한 사람의 경우 1주일 정도 지나면 감기가 자연적으로 치유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동안 겪는 ... ...
감기약 효과 크게 없어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의사들은 습관적으로 감기 환자들에게 항생제를 과잉투여하고 있다. 특히 만성 호흡기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50-70% 정도가 항생제를 과 ... 생활과 충분한 영양 섭취, 그리고 휴식이다. 약은 몸의 저항력을 키워주는 것이 아니라,
병원균
을 죽일 뿐이라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 ...
사람피부에서 천연항생물질발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이 항생물질은 대장균처럼 식중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나 아구창을 일으키는 칸디다
병원균
에 대항해서는 매우 효과가 있지만, 자연적으로 피부에 살면서 가끔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별 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진은 방광과 생식기, 그리고 폐에서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나타내는 식균세포와 특이적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임파구의 두종류가 있다. 식균세포는
병원균
이나 이물질을 집어삼키는 탐식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항원을 아주 작은 조각으로 파괴하여 상위의 면역세포인 임파구에 넘기는 항원전달 기능을 갖고 있다. 대표적인 식균세포는 중성구(neutrophil)와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만일 피부 내부에서 세포들의 대사 작용이 증가하면 그 부위의 온도는 올라간다.
병원균
이 침입해 이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염증, 그리고 피부 암세포의 활발한 작용이 대표적인 경우다. 또 화상을 입었을 때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다.이에 비해 자율신경계가 자극돼 그 부위의 혈관이 ... ...
꼬마자동차 소저너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생성하는 세균 락트산균 또는 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 발효로 생성하는 젖산에 의해
병원균
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저지하며,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의 제조에 이용된다위성에서 보내는 소리나 영상을 실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접시형 안테나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 ...
3. 구강청결 단맛 내며 충치 예방하는 껌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가진 껌을 상용하면 오히려 구강내 세균의 평형상태가 깨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외부
병원균
과 싸워 몸을 보호해줄 세균이 줄어들어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또 신경계통을 자극하는 효과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졸음을 깨게 한다는 껌에 커피 성분이나 특정 향료가 ... ...
선진국 식용수에
병원균
위험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마시는 물이 심하게 오염되는 일은 가난한 나라와 개발을 서두르는 후진국에나 있는 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미국 미생물학회 학자들은 앞으로 몇십년 내 ... 주로 사용된 생물은 박테리아(E.Coli). 그러나 이것은 바이러스나 원생동물과 같은
병원균
의 존재를 알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
식물도 동반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물질과 ‘동반자살’ 하는 방법(apoptosis)이다. 침입을 받은 세포가 즉시 죽으면서
병원균
을 가둬놓아 더이상 몸에 퍼지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현상이 식물에게도 발견됐다.보통 곰팡이나 세균이 식물 세포를 공격했을 때 세포는 과산화수소(H₂O₂)를 방출, 주변 세포에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것이 정상인데, 오염물질이 몸에 침투해 항상 80-90%까지 활성화된다"고 설명한다. 특별한
병원균
이 몸에 침입한 것도 아닌데 면역 기능이 최대로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염증을 만드는 물질인 싸이토카인(cytokine)이 면역세포에서 대량으로 분비된다. 그 결과 온몸의 모세혈관에서 염증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