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d라이브러리
"
병원균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여행도중에도 목숨을 빼앗아가는
병원균
을 옮기는 모기 쥐 기생충 더러운물 등이 많다. 어떤 지역에 어떤것이 있는가.해외여행자나 해외근로자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반입할수 있는 무서운 '수입감염증'에는 어떤것이 있으며 또 얼마나 반입되고 있는가. 해외취업 확대와 해외여행붐으로 이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없게 될 것이라고 내다 보았다. 아뭏든 온실효과에 의해 세계는 더 많은 잡초로 덮이고
병원균
과 기생균은 전성시대를 맞아 열대의 질병이 온대지방으로 쇄도해 들어올 것이다. 지구의 생명체와 생태계는 종전에도 기후의 변화를 여러번 겪었다. 그러나 이번의 변화는 지난 빙하시대 이래 평균 ... ...
침과 뜸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때 잘 나타난다. 침이 혈관을 관통하여 피가 피하조직내에 고인 상태를 말한다.2차적
병원균
의 감염으로 현재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간염바이러스와 AIDS바이러스다. 이들 바이러스는 어떤 소독법으로도 멸균시킬 수 없지만 최근에는 1회용 침의 사용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엔돌핀을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방법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생물이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경험한 적이 없는 무서운
병원균
을 가지거나, 생태계를 파괴시킬만한 가공할 능력을 가질 때 예견되는 가상의 위험이다.이 두가지 위험중 전자는 병원력(pathogenicity)이나 그 원인균(pathogen)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 있다. 그위험성에 ... ...
정수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합물 수도물 속의 발암물질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 브로모포름(bromoform·CHBr₃)의 4종류이다.정교수팀은 "과거에는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병원균
에 의한 수질오염이 문제가 되었으나 지금부터는 유기화합물 등에 의한 수질오염에 대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수질기준을 시대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이에 대해 ... ...
깨끗하고 맛있는 물을 마시려면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弗素ㆍfluorine): 비소는 1ℓ속에 0.05㎎이하, 불소는 1.0㎎이하로 규정되어 있다.이상과 같은
병원균
이나 유독물질이 함유된 물은 건강장해를 일으킬 뿐만아니라 생명까지도위험하게 하는 나쁜 물이다.다음으로 맛이 없는 물을 들수 있다. 미국의 서해안쪽 로스앤젤레스나 라스베이가스의 물은경도가 ... ...
흔하지만 가볍게 볼 게 아니다 감기의 예방과 치료안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환자의 기도 분비물이 기침 등을 통하여 대기중에 수포(水泡) 형태로 배출되면 그속에
병원균
이 오래동안 생존할 수가 있게 돼 이들 수포가 다른 사람의 기도내로 흡입, 인체의 건강상태에 따라 발병하게 된다. 이러한 호흡기 감염경로는 현실적으로 예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손을 통한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병원균
의 종류가 다르면 항체구조도 이와 맞지 않으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병원균
의 종류가 매우 많다는 것은 바꿔 말해서 우리 고등생물의 신체가 다양한 항체를 만들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된다. 예컨대 박테리아의 구조를 인공적으로 바꿔 종래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던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자연치유능력을 조장하는데 주요한 목표를 두고 있다. 반면 분석적인 서양의학은
병원균
의 규명과 이에 대한 화학요법제의 적용, 면역요법, 외과수술 등에서 경이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둘째, 내인(內因)과 외인(外因)의 측면이다. 서양의학은 세균감염에 의한 질환이나 외상 등 외인성 질환의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같은 병이라는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1976년 이교수가 처음으로 이 원인모를 괴병의
병원균
을 발견할 때까지 미국 소련 유럽국가 등에서는 과학자 수백명을 동원, 연구하였으나 병원체분리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출혈열연구의 메카-많은 나라에서 수많은 연구원과 막대한 연구비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