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d라이브러리
"
병원균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위해서 엄청난 방어 장치를 겹겹이 해놓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어지간한
병원균
은 우리 몸에 들어와도 옴싹날싹 못하게 돼 있으니 내 몸의 자연 치유 능력을 믿고 약을 남용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약은 몸이라는 생체계를 간섭하는 물질로 특히 항생제에 대한 저항 세균이 자꾸 ... ...
여름 설사 유산균 섭취가 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균을 말한다. 1857년 파스퇴르가 우연히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수백여종이 알려졌다. 각종
병원균
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해한 물질의 독성을 제거하며 비타민 합성을 돕는 등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한다. 그래서 유산균 제품은 요구르트와 같은 건강식품을 비롯해 질병을 직접 치료하는 각종 의약품에 ... ...
생존을 위한 몸부림 동식물의 화학무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이런 식물들간의 저항관계를 알레로파시라 한다.소나무 송진의 터펜스같은 물질은
병원균
의 침입을 막고 다른 식물의 접근을 막아낸다. 또 상처를 입으면 사람의 피와 같은 것이 흘러나와 굳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투를 막아낸다. 여기서는 소나무의 예를 들었을 뿐 다른 풀과 나무들도 ... ...
Ⅱ. ②해부: 남녀의 신체특성9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질과 항문에 있는
병원균
이 요도로 퍼지기 쉽다. 게다가 여성의 요도는 짧기 때문에
병원균
이 방광으로 퍼지기도 쉽다. 따라서 여성은 비뇨생식기관을 언제나 깨끗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6. 유방과 젖샘사춘기부터는 새로운 남성 또는 여성호르몬의 자극에 따라 새로운 남녀 차이가 나타난다. ... ...
사타구니 가려움증 곰팡이가 한몫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발이다. 한국인의 10명 중 1명이 골탕먹고 있는 무좀이 대표적인 사례다. 무좀을 일으키는
병원균
은 3종류(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Epidermophyton floccosum)다. 기온이 20℃가 넘고 습도가 70% 이상인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극성을 부린다. 무좀균은 피부의 딱딱 ...
Ⅱ 병주는 곰팡이: 건강 약해진 틈 노리는 병균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곰팡이가 인체에 침입해 일으키는 질병은 무척 다양하다. 누구나 흔히 겪는 가벼운 피부 알레르기는 물론이고, '20세기의 흑사병'으로 불리는 에이즈 환자에게 가장 많은 죽 ... 지내다 면역기능이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적으로 바뀐다. 그래서 이들을 가리켜 '기회성
병원균
'이라고 부른다 ... ...
Ⅲ 약주는 곰팡이: 페니실린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빵이나 떡에 피어 못먹게 만드는 천덕꾸러기로 여겨지고 있었다. 플레밍은 푸른곰팡이가
병원균
이 자라나지 못하게 하는 어떤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라 생각했다. 세계 최초로 항생제(다른 미생물이나 세포의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 페니실린을 찾아낸 순간이었다. 페니실린이란 말은 푸른곰팡이의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전염병에도 각기 다른 원인균이 있을 것은 쉬이 짐작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병원균
의 발견이 연이어졌다.독일 정부도 코흐의 가치와 재능을 인정하게 됐다. 그 결과 시골의 일개 개업의사이던 코흐는 1880년 베를린의 제국위생국에서 완벽한 시설과 지원 속에서 연구를 계속할 수 있게 됐다.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코흐는 탄저병에 걸린 동물로부터
병원균
을 분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한종류의
병원균
만을 순수하게 배양하는 방법을 더욱 면밀히 다듬을 수 있었다. 이 때부터 코흐는 유명세를 톡톡히 치뤄야했다.탄저병 연구로 명성을 얻은 코흐는 이제 일반환자를 진료할 짬이 없었다. 대신 연구를 계속했고, ... ...
균과의 전쟁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피부염이나 꽃가루알레르기 같은 면역성질환이 늘고 있는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병원균
퇴치라는 미명 아래 남용된 항생제는 내성이 강한 또다른 균을 만들어내 인간의 면역체계를 위협하고 있다.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세균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