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발달하면서 시민 과학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전문지식이 없어도 학술지에
논문
을 실을 수 있다는 꿈을 꿔 보자. 짬짬이 시간을 내서 게임도 하고 연구에도 보탬이 된다면 꿩 먹고 알 먹고 아닌가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교사 외 9명은 지도교사 우수상을 받았다. 박승재 심사위원장은 “인터넷이나 기존
논문
만 재확인한 연구는 완전 배제했다. 고등학생으로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주제에 몰두한 팀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대상수상자는 4000만 원의 장학증서를 받았고, 우수상과 장려상 수상자도 장학증서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로, KAIST에서 박사과정을 하며 휴보의 달리기 기능을 개발할 때 이
논문
을 썼습니다. 지도 교수는 바로 휴보 아빠인 오준호 교수지요.조 박사는 가장 먼저 달리기의 기본인 ‘한 발로 제자리 뛰기’ 연구부터 시작했습니다. 구형 로봇에서 다리 하나를 떼어와 제자리 뛰기를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래서 대중들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기 위한 공연을 만들기 위해 음악교육과 관련된
논문
을 찾아 공부했어요. 그 결실로 음악과 수학이 결합된 공연인‘피타고라스의 음계’가 탄생했죠. 저희를 도와주고 있는 이주형 사무장이 이 공연의 시나리오를 썼습니다.✚ 피타고라스 음계 시나리오를 처음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활동은 주로 토요일을 이용한다. 이 때 초청강연을 듣거나 탐구실험을 하고 팀별로 소
논문
수준의 탐구보고서도 작성한다. 이것을 모아서 연말에 책으로 만든다. 방학에는 2박 3일 여름과학캠프를 한다.과학중점과정이 진학에 어떤 도움을 주나?1학년 때 과학교양수업을 듣고 다양한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대칭구조를 설명한
논문
을 발표했다. 합금의 결정 패턴이 펜로즈 타일과 유사하다는 이
논문
에서 이들은 좁게보면 패턴이 보이지만 크게 보면 규칙적으로 반복되지 않는 이런 구조를 준결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결국 1992년에 열린 국제결정학총회에서 결정에 대한 정의가 바뀌고, 고체에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차 감각을 담당하는 영역에 대한 연구라는 사실도 지나친 ‘확대해석’을 경계하게 한다.
논문
은 “앞으로 자극이 ‘에로틱한 것’일 때와 단순한 것일 때 뇌의 감각령이 각각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할 계획”이라는 말로 끝나고 있다. 비아그라가 많은 부부를 행복하게 한 것처럼 그의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도금 용액을 개발한 것도 김 교수의 연구팀이다. 이와 관련해 김 교수가 국내외에 발표한
논문
만 223편이며 출원, 등록한 특허도 68건이나 된다. 그는 “현재 한 국내업체와 함께 구리나노와이어를 사용한 반도체를 컴퓨터에 상용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세대 반도체 엔지니어를 ... ...
“제2의 김연아, 제가 만들 거예요”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고 싶어요.” 지난 8월 휘경여고에서는 과제연구 발표대회가 열렸다. 총 16개 팀이 탐구
논문
을 발표했다. 마지원 학생은 장려상을 받았다. “동아리 선생님이 주신 외국 수학 잡지에서 자유투와 황금비의 관계를 연구한 걸 봤어요. 제가 좋아하는 수학과 체육의 연결이라 흥미를 갖고 직접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얻을 수 있지요.”근적외선 카메라가 왜 중요한가에 대한 성현일 박사의 설명이다.
논문
에 나와있는 지상의 근적외선 망원경 관측 데이터를 보면 3월 30일에서 6월 11일에 걸쳐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빠른 3월 30일자가 바로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에서 얻은 것이다.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은 이어서 3월 3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