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 나도 몰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위안이 되는 연구를 하나 더 발견했습니다. 2011년 미국 브리검영대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입니다. 이들은 미국에 사는 1734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돈을 좋아하는 정도와 행복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돈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대답한 부부가 10~15% 더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하고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건설환경공학부는 주로 국가 프로젝트 연구를 담당하며 이를 바탕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
을 쓴다. 대학원 졸업 후에는 학계는 물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나 한국환경정책연구원과 같은 국책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건설환경공학도의 진출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학사학위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클 것이다.3 줄어드는 출산율 위협 요인10년 전인 2001년 8월, ‘네이처’에는 흥미로운
논문
이 실렸다.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의 볼프강 루츠 교수팀이 발표한 인구 예측 결과였다.루츠 교수는 세계를 13개 지역으로 나눈 뒤 유엔과 미국인구통계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미래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로봇의 움직임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로봇공학자지만 생물학
논문
을 많이 읽죠.”[조규진 서울대 항공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벼룩로봇’의 모습][로봇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이용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자리에서 제 몸의 30배가 넘는 높이를 뛸 수 있다]파리 안에 답이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아무 문제 없이 복제됐던 것이다. 연구 결과는 1974년 5월 ‘PNAS’에 실렸다. 이
논문
이 시사하는 바는 너무나 명확했기 때문에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언론들은 연구결과를 대서특필했다. 즉 개구리의 DNA가 들어가도 문제가 없다면 사람의 DNA(유전자)가 들어가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많은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육기관이라는 겁니다. 이게 요즘 뒤바뀐 것 같아요. 교육은 등한시되곤 합니다. 교육이
논문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합니다.일부에서는 서울대 공대생의 자퇴 비율이 높다고 지적합니다. 이 문제는 학교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합니다. 자퇴생의 대부분은 법학이나 의학을 전공하려고 합니다. 그쪽이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구를 만들어낸 인간이 자연보다 앞선 듯 했다. 하지만 2011년 5월 과학지 ‘네이처’에
논문
한편이 발표되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주인공은 우주에 떠 있는 천체가 아니라 아주아주 작은 전자였다. 전자는 이제까지 관측한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완벽한 구 모양이었던 것이다.어느 정도냐 하면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논문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도 포스텍 김기문 교수의 2000년 ‘네이처’
논문
으로 총 1656회 인용된 바 있다. 단순한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추구, 대한민국 기초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개교 당시 재미과학자 귀국 장려로 60여명의 해외 석학들이 국내로 복귀한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질이 많이 달라진다”며 “인터넷에서 금속과 관련된
논문
도 찾고 KAIST 교수님이 쓰신
논문
도 읽어 봤다”고 말하는 현종 군은 그 중 KAIST 권혁상 교수의 ‘스테인리스강의 이해(한국철강신문)’를 인상 깊게 읽었단다. 이 책을 통해서 금속의 쓰임부터 조합하는 원료의 비율에 따라 금속의 성질이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영국 런던대 인류학과 제인 장 교수팀이 2007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13~14세기 몽골군의 침략 때인구가 원래의 거의 절반인 5500만 명으로 줄었다. 한편 전쟁 뒤에는 갑작스럽고 일시적인 인구 증가 현상(베이비붐)도 따라온다. 미국의 경우 2차 세계대전 뒤인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