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다량발생 때문에 적색계통의 빛깔을 띠는 현상 플로리다반도 서해안, 멕시코만 연안,
남아
프리카 서해안, 일본 남해안 등의 해역에서 자주 발생하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발생원인은 일사가 강하여 표층수의 수온이 상승하거나 하수의 유입으로 영양염이 크게 증가한 경우 등이다 수일에서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엄지손가락 때문에 앞니 위아래가 다물어지지 않고 엄지손가락의 형태가 그대로 치아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치아뿐 아니라 턱뼈의 성장에도 영향을 준다. 계속 내버려두면 치아는 물론 위턱과 아래턱도 맞지 않아 치료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습관을 없애는 교정 장치를 사용해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중기에 거북선의 등판처럼 배에 창을 꽂아 적의 접근을 막는 배가 등장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요. 그리고 고려 말 최무선에 의해 거북선의 주무기였던 화포가 개발되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40여 년 전인 15세기 중반 거북선 몸체의 기본이 되는 ‘판옥선’ 이 만들어졌답니다. 거북선은 이 모든 ... ...
스티븐 호킹이 행복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윌리엄 크레일러 박사는 ‘덱스터’(Dexter)라는 인공 팔을 개발했는데, 착용하는 사람이
남아
있는 팔 윗부분 근육의 움직임을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동안 근육이 그 움직임을 기록하고 이를 손가락으로 전달한다. 덱스터를 사용하면 손가락을 세 개까지 움직일 수 있다.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 ...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공기 양이 다르다. 진행방향이 회전방향과 같은 부분에서는 공기가 후딱 지나가 적게
남아
있고, 서로 다른 반대편에서는 공표면을 따라 뒤쪽에서 흘러온 공기까지 합쳐져 공기가 많이 쌓인다. 공기가 많은 곳은 압력이 높고 적으면 압력이 낮다. 압력은 단위면적에 작용하는 힘이기 때문에 압력이 큰 ... ...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바뀌면서 세계 156개 바다 이름과 경계를 재정비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백지로
남아
있는 부분이 있다. 정치적 쟁점 지역이라는 이유로 아직도 인정받지 못한 우리 땅 우리 바다 동해다. 월드컵이 열리는 6월 독일에서는 IHO 회의가 열린다. 당장이라도 우리 이름을 세계에 알리고 싶지만 그 길은 멀고도 ... ...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채웠다가 3리터짜리 물통에 덜어낸 뒤 그 물을 버린다(5-3). 그런 다음 5리터들이 통에
남아
있던 물 2리터를 3리터짜리 물통으로 옮긴다. 이제 5리터들이 통에 물을 다시 가득 채운다. 이 물을 물 2리터가 들어있는 3리터짜리 물통에 가득 차게 옮기면 4리터가 남는다(5-3+5). 마지막으로 3리터짜리 물통에 ... ...
지문으로 흡연자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지난 4월 3일 영국의 ‘뉴사이언티스트’는 영국 킹스칼리지의 수 지켈 교수가 지문에
남아
있는 잔여물을 이용해 범인의 흡연 여부를 알아냈다고 보도했다.지켈 교수는 “지문에서 니코틴을 흡입할 때 생기는 코티닌이란 물질을 발견하면 범인이 흡연자라는 사실을 알게 돼 용의자 찾기가 ... ...
발해인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방법은 없을까.지금 연해주에서는 발해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우데게들이 사라지고 있다.
남아
있는 순수 혈통의 우데게는 어림잡아 750명 정도다. 다른 민족과 통혼이 잦은데다 현대 문명에 적응하지 못해 그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과 30% 닮아지난해 8월 단국대 생물학과 김욱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수여받아 켈빈(Kelvin) 경이 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켈빈은 현재 절대온도의 단위(K)로
남아
있다.변함없는 태양의 크기와 식어가는 태양 이론의 단점을 해결하려는 사람이 있었다. 바로 제임스 크롤이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한 소작인 아들로 태어났다. 학문과는 거리가 멀고 가난했던 탓에 크롤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