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정치경제적 문제가 얽혀 진전이 없는 프로젝트도 있다.경제협력의 여지가 아직 많이
남아
있는 동북아시아에서 철도는 각국을 빠르고 안전하게 연결하는 최적의 선택이자 통합의 상징이 될 것이다. 한국철도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싶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 타고 지구 한 바퀴 현대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담고 있다 지구상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속 탄화수소 기체의 양은 현재 지구상에
남아
있는 석유, 가스, 석탄 같은 기존 화석연료를 모두 합한 양의두 배로 추정된다기름과 섞여 있는 모래 모래에서 기름을 분리해 정제하는 기술은 이미 1960년대 개발됐지만 경제성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유가가 ... ...
투시력 있어야 마술사 하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로 하면, 마술사는 ♣ 무늬 13장 가운데 ♣A를 제외한 12장 중 하나를 맞히면 된다. 따라서
남아
있는 문제는 ♠3, ◆A, ♥4로 번호 5를 알아내는 것이다.여기서 첫 번째 카드와 뒤집어 놓은 카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2가지라는 점에 주목하자. 즉 ♣A를 공개하고 ♣5를 숨기거나, ♣5를 공개하고 ♣A를 숨길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유전자에는 아직도 선조식물들이 자연계에서 생존하면서 축적해 온 유전형질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이 먹을거리와 그 이용 방식은 제각기 다른 환경에서 살고 있는 민족마다 고유한 방식으로 진화해 왔다. 따라서 생활환경이 급격하게 달라지지 않는다면 먹을거리를 쉽게 바꾸거나 조리 ... ...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기지의 모습을 하나하나 검토했다. 다행히 마징가Z의 설계도가
남아
있어 기지의 모습도 대략 파악할 수 있었다.지하기지의 깊이는 50m영화에 나타난 지하기지의 특징은 이랬다. 하수처리장의 물이 빠져나가면서 바닥(지하기지에서 보면 지붕)이 열리고 아래 있는 마징가Z가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는 박테리아와 공생을 하는 동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심해는 아직도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 미래의 탐사를 통해 신비한 심해생물이 더 많이 발견될 것이다. 심해의 수압은 손톱 위 자동차 무게쥘 베른은 수압이 엄청난 심해에 사는 생물들이 압력을 견디기 위해 엄청나게 단단한 몸뚱이를 ... ...
자궁 속 환경이 게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는 “여성의 몸은 남성 태아를 ‘이질적’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남아
를 임신하면 면역반응이 활성화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똑같은 병에 두 번 걸리면 다음에는 항체가 더 빨리 더 많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남자 아이를 반복해서 임신할수록 여성은 더 많은 항체를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단식투쟁할 스님도 없다. 다만 생태사진가의 눈으로 바라본 그들의 아름다운 모습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여백을 남긴다간밤에 내린 비에 투명한 날개가 흠뻑 젖었다. 무거워진 날개를 털고 날아보지만 이내 거미줄에 걸리고 만다. 끈적끈적한 느낌에 몸부림을 치지만 어느새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있다. 다만 아직은 구부려도 손상이 없는 유연한 재료를 확보하는 등 여러 문제가
남아
있다.미래의 TV는 벽에 쉽게 걸 수 있는 초대형, 초박형 무선 TV로 진화할 것이다. 나아가 종이 위에 고해상도 컬러 인쇄를 하듯 디스플레이 전자재료를 인쇄법으로 찍어서 만드는 날도 올 것이다. 대형 TV를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가지고 있는 특징 중의 하나는 에너지의 공급이 끊어지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공간내에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잔향(reverberation)이라고 한다 잔향은 실내공간의 크기와 실내 마감재료의 흡음성에 따라 달라진다 잔향시간은 음에너지가 최대인 상태에서 1백만분의 1만큼의 에너지로 감소하는데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