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편마암 등이 이에 속한다천매암은 재결정작용이 불충분하여 원석(原石)조직이 암석 내에
남아
있다생물학의 한 분과 동물계에서 동물들 사이의 유연관계나 기원 등 계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분류학과는 뚜렷한 차이없이 혼용하여 사용되지만 계통학은 분류학보다 더 포괄적인 용어이며,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걸릴 것으로 보인다. 백광현 교수는 “배아줄기세포는 암세포가 돼 증식하는 문제가
남아
있어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모든 병에 적용할 수도 없다. 김동욱 교수는 “파킨슨병, 심근경색 등이 현재 유력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효수 교수는 “혈관이 죽어 생기는 허혈성 질병에 많이 ...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랑 받고 있다. 현재 카시니라는 이름은 달의 크레이터와 화성의 지형 등에도
남아
그 업적을 기리고 있다.카시니는 1712년에 생을 마쳤다. 그로부터 13년 뒤 영국 천문학자 브래들리는 광행차를 이용해 빛의 속도를 측정해서 그의 제자 뢰머의 계산이 맞았음을 증명했다. 합,충 : 합은 지구에서 볼 때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왜 이제야 일러주는가? 젊고 능력도 출중한 당을 보니 참으로 든든하오.”(미국과 동
남아
시아에서는 타가토오스 제품이 이미 팔리고 있다. 스웨덴 식품회사 알라푸드도 우유를 가공하고 남은 폐액으로 타가토오스를 생산한다. 우유 1L에서 얻을 수 있는 타가토오스는 수mg. 이래서는 상업적으로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전 새로 산 냉장고는 포장에 적힌 유통기간을 탐지해 알려주기 때문에 상한 음식물이
남아
있는 경우는 없다. 냉장고는 스스로 필요할 때마다 농산물 유통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관련 정보를 내려받는다. 밤새 집안을 돌아다니며 불침번을 섰던 가정용 로봇이 식사를 끝낸 김 씨에게 다가와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어나는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등은 장기 이식 분야의 숙제로 여전히
남아
있다.당사슬이 생체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글라이코믹스 기술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같은 생물 관련 산업에 응용할 수 있다. 특히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당단백질이나 탄수화물에 붙은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바뀌게 한다. 이같은 타원궤도를 따라서 천왕성과 해왕성은 태양계 바깥 지역(20~35AU)에
남아
있던 미행성대에 깊숙이 들어가게 된다.결국 천왕성과 해왕성은 미행성들과 각운동량을 교환하며 태양계 바깥쪽으로 급격하게 밀려나는 반면, 미행성들은 반대로 태양계 안쪽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했다. 이렇듯 상반된 결과가 여럿 나왔기 때문에 당과 비만의 관계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이에 필자는 성인의 약 1/3이 비만인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당 섭취량 변화를 파악해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와 비교해봤다. 총당류 섭취량 꾸준히 증가우리나라는 매년 실시하던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29년에 12발기가 제작된 예도 있으나 오늘날에는 8발의 보잉 B-52가 매우 드문 예로서
남아
있다 오늘날의 다발기는 일반적으로 한 대의 엔진이 고장나도 나머지 엔진으로 수평비행은 물론 이륙과 상승도 할 수 있어서 단발기보다 안전성이 높다 하나의 사건을 관측한 데이터의 변량이 여러 개일때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황우석 교수의 논문은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세포 원천기술’이
남아
있더라도 난치병 환자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